로또 용역업체 선정과정 부당거래 의혹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2002년 로또(온라인연합복권) 도입 과정에서 시스템사업자와 용역업체의 선정과정이 부당했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고 세계일보가 22일 보도했다.

또 로또 운영기관인 국민은행 간부가 친인척 명의로 시스템 사업자의 관련 기업 주식거래를 통해 부당이득을 취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신문은 전했다.

이와 관련, 검찰 등 사정당국은 로또 사업자 선정과 사업성 검토를 둘러싼 문제와 부적절한 정책집행 등 로또 도입비리 의혹을 상당 부분 포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문에 따르면 국민은행은 2002년 1월 로또 사업자 선정 과정에서 시스템 구축 완료에 가중치를 부여, 특정업체에 유리한 결과를 안겨준 것으로 확인됐다. 이 같은 기준에 따라 입찰에 참여한 5개 업체 가운데 1998년 시스템 구축을 이미 완료한 KLS(코리아로터리서비스)를 제외한 나머지 업체는 사실상 사업자로 선정될 기회가 원천봉쇄됐다.

사정당국은 이에 대해 "기술적 우수성과 경제적 효율성을 갖춘 사업자를 선정하기 위한 목적과는 다르다"고 진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KLS측에 유리한 평가 기준을 국민은행에 보고서로 제출한 영화회계법인은 2001년 5월 컨설팅용역 입찰제안서 작성 당시 KLS측으로부터 자료를 지원받았던 것으로 밝혀졌다. 국민은행도 로또 도입을 위한 컨설팅 용역업체 선정과정에서 객관성을 높인다는 명분으로 참가자격을 온라인복권 용역실적이 없는 업체로 제한하고도 2000년 KLS의 온라인복권 용역을 수행한 실적이 있는 영화회계법인을 선정해 특혜 의혹이 일고 있다.

특히 국민은행 로또 운영관계자는 2001년 11월 여동생 명의로 증권계좌를 개설, KLS의 대주주인 범양건영 주식을 매입해 3800여만원의 시세차익 등 부당이득을 챙긴 것으로 확인됐다.

영화회계법인측은 이에 대해 "용역보고서를 제출할 당시엔 KLS가 선정되기 훨씬 이전으로 KLS에 특혜를 주기 위한 것이란 주장은 말도 안 된다"고 했고, 입찰자격과 관련해선 "KLS에 온라인복권의 이해 등의 용역을 한 것은 사실이지만 당시 온라인복권에 대해 아는 사람이 몇 명이나 됐느냐"며 관련 의혹을 전면 부인했다고 세계일보는 전했다.

디지털뉴스센터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