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국민의식의 현주소|본사조사결과 부문별분석<5>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한국인의 교육열은 세계에서도 으뜸이다. 미국을 비롯한 서구제국의 고등교육기관이 파리를 날리고 수지를 보기가 어렵다고 아우성인데도 우리의 대학은 만원이다. 해외유학대열도 해마다 길어지기만 한다.
아들을 대학은 물론, 대학원교육까지 시키고 해외유학까지도 보내겠다는 사람이 전체응답자의 91·6%. 8·4%만이 전문대까지만 교육시키겠다는 반응이다. 중학교 공부만 시키겠다는 사람은 겨우 0·4%에 불과하다.
이를 좀더 자세히 들여다보면, △중학=0·4% △고교=5·7% △전문대=2·3% △대학=55·1% △대학원=17·7% △유학=18·8%다.
딸의 경우도 거의 비슷하다. 딸이 있다면 △8·4%가 대학원 △9·7%가 해외유학까지 시키겠다고 해 아들의 경우보다 대학원이상의 교육을 시키겠다는 사람은 적었으나 대학까지 공부시키겠다는 사람은 전체의 55·2%로 아들이나 같은 숫자였다. 고교까지는 21·4로 아들보다 훨씬 많았다.
이를 도농(도농)별로 보면 도시의 경우 95·8%가 아들을 대학이상 보내겠다고 한 반면, 농촌에서는 85·2%만이 대학이상에 보내겠다고 해 아들 공부를 시킬수 있는 경제적 역량에서 농촌이 도시보다 뒤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농촌이 도시보다 자녀교육역량에서 뒤지고있는 사실은 딸의 경우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농촌의 경우 60·4%만이 딸을 대학이상 보내겠다고 했다. 도시인의 경우는 딸도 81·8%가 대학이상의 교육을 시키겠다는 것이다.
이들 응답자들의 △3·3%가 무학 △19·9% 국졸 △21·4% 중졸 △5·3%고졸 △5·7% 초급대졸 △16·3% 대학졸이란 사실에 비춰보면 자녀들에게 자신보다는 더 많은 교육을 시켜 사회적 지위상승을 하려는 한국인의 교육열이 뚜렷해진다.
따라서 자녀교육은 거의가 부부상의아래 이루어진다. 다만 30대 이하의 연령층을 주로한 14·2%가 부인에게 말길뿐 81%가 반드시 부부상의를 거쳐 자녀교육문제를 결정한다. 4·8%만이 남편이 맡는 정도다.
이같은 교육열은 자연 각급 학교 진학을 가늠하는 입시제도로 이어져 깊은 관심을 나타내고있다. 우선 평준화에 따른 고교추첨배정에 대해 △각자가 실력경쟁을 할수 있는 입시체제로 환원돼야한다는 주장이 67·0%나 됐고 △21·2%만이 학교차와 경쟁을 없애기 위해 추첨배정을 계속해야 한다고 했다.
대학입시에 대해서는 고교입시제도보다는 보수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현행제도를 계속해야 한다는 사람은 전체의 16·1%로 고교평준화의 21·2%에 못미쳤지만, 완전히 대학자율에 맡기자는 응답자는 32·5%로 고교입시에서 실력경쟁을 시켜야한다는 67·0%에 훨씬 못미쳤다.
나머지 51·3%중 37·4%가 일단 학력고사를 치르고 대학에 맡겨야한다는 반응이었고 나머지 13·9%는 뭐가뭔지 모르겠다고 했다.
고교 및 대학입시와 관련, 정부의 과외금지조치를 물었다. 이에 대한 반응은 더욱 온건하고 보수적이었다. △36·1%가 계속 금지돼야한다고 했고 △44·1%는 중·고교의 학교안에서 보충수업을 허용, 과외열풍을 학교안으로 끌어들여 소화해야한다는 대안제시쪽이었다. 과외금지는 전면 해제돼야한다는 주장은 겨우 9·0%. 과외를 계속 금지해야한다고 응답한 사람을 수입별로 보면 △월10만원이하는 31·6% △월15만원은 37·9% △월20만원 38·5% △월30만원 39% △월40만원 37·8% △월50만원 38·8% △월70만원 33·9% △월70만원이상 22·5%였다. 월50만원의 수입자를 기점으로 그이상 수입자의 과외금지 계속 찬성률은 낮아졌다.
요즘 문교부가 강력히 추진중인 성교육에 대해 모두가 그 필요성을 인정했다. 다만 4%만이 필요없다고 했다. 그러나 실시시기에 대해서는 나머지 96%중 국민학교때 시작해야한다는 반응이 20·8%였고 나머지 75·2%가 사춘기가 시작되는 중학교때부터 시작해야한다는 반응을 보였다.
도시거주자는 25·1%가 국민학교 이전에 시작해야한다고 한 반면, 농촌거주자의 경우는 14·3%만이 국민학교 이전에 시작해야한다고 보고, 나머지 85·7%가 중학이후 실시를 바랐다. 교육시책의 지역특수성 감안이 필요하다는 예를 보는 것 같다. <권부용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