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정책금리 역전…정부·시장 엇갈린 반응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2면

미국의 금리 인상에 대해 정부와 시장의 반응이 엇갈리고 있다.

재경부와 한국은행은 "미국 금리가 국내 금리보다 높아졌다는 이유만으로 국내 금리를 올릴 이유가 없다"는 입장이다. 반면 시장에선 "이제는 금리 상승에 대비할 때"라는 공감대가 확산하고 있다.

재경부는 10일 한.미 정책금리가 역전된 데 대해 "국내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중립적"이라고 밝혔다. 정책금리와 별개로 움직이는 시장금리는 국내가 더 높아 자금유출 가능성이 크지 않고, 외국인 주식투자도 금리보다는 기업실적 등의 영향을 더 받기 때문에 빠져나갈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한은도 비슷한 입장이다. 이 때문에 금융권에선 11일 금융통화위원회가 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전망하는 견해가 우세하다.

하지만 은행 등 금융권에선 금리 인상이 시기문제일 뿐이라고 보고 대응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미국 금리 인상에 따라 국내 금리의 상승 압력이 커지고, 결국 한은이 늦어도 연내에는 콜금리를 올릴 수 밖에 없을 것이라는 시각이다.

우리은행 황영기 행장은 월례조회에서 "저금리를 벗어날 때가 되지 않았나 판단하고 있다"며 "금리 상승에 대비하고 상품과 영업전략을 재점검할 때"라고 말했다. 그는 "금리 상승이 본격화하면 시중자금의 물꼬가 달라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시중은행의 한 임원도 "금리가 오르면 예금금리가 대출금리보다 빠르게 높아져 수익성이 나빠질 수 있다"며 "상환여력이 빠듯한 한계고객들의 연체율이 높아져 부실채권이 증가할 가능성도 크다"고 지적했다.

은행들은 이에 따라 고객 신용도에 따른 대출금리 적용 범위를 확대하는 방안 등 구체적인 대응책 마련에 착수했다.

나현철.김창규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