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총리지시로 남부미10만t추가도입"|조달청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국회 경과위외미도입진상규명 9인소위 (위원장 신상식의원)는 24일상오 김주호조달청장을 출석시킨 가운데 외미도입을 둘러싼 물량과다책정문제·가격결정·외국상사와의 접촉경위등에대해 질의를 계속했다.
소위는 이날로 조달청에대한 조사를 일단락짓고 내주부터는 농수산부와 기획원관계자를 불러 진상규명을 계속키로했다.
특히 소위는 미국의 코널사와 81년2월 남부미 10만t 도입토록 지시한 것으로 밝혀진 당시의 신병현부총리를 자진출석형식으로 다음회의 (일자 추후결정)에 출두시켜 증언을 듣기로 했다.
23일 하오 열린 제3차회의에서 이형배·홍사덕(이상 민한), 김종하(국민). 조순형의원(의정)등 야당의원들은 정부가 펌사와 남부미20만t을 도입키로 계약하면서 더이상 타사로부터 남부미도입을 하지않기로 약속을 해놓고 81년2월 코널사와 10만t의 남부미 도입을 계약한 이유가 무엇이냐고 따지고 누구의 지시에 따라 계약을 했느냐고 물었다.
민한당의 홍의원은 특히 과다도입으로 곤란을 받고있는만큼 금년중 들여올 50만t은 취소해야 옳다고 주장하고 만약 도입이 불가피할 경우라도 이를 국내로 들여오지말고 제3의 쌀수입국으로 돌리고 대신 우리에게 필요한 원자재로 바꾸어 들여오는 방법을 강구할 용의가 없느냐고 물었다.
답변에 나선 김조달청장은 『코널사와의 계약은 코널사측이 미의원들을 동원, 만약 10만t을 도입치 않을 경우 일본으로부터 우리가 들여오기로한 1백만t의 수입을 저지하겠다고 압력을 가해왔기 때문』이라고 밝히고 당시의 신병현부총리지시로 코널사와 10만t 계약을 체결했던 것이라고 말했다.
김청장은 최근 있었던 미의회 청문회의 주요관심사는 한국이 이미 약속한 81년산 가주미 37만t의 구매독려와 앞으로 한국에 더많은 쌀을 수출하는데 있었다고 보고했다.
김청장은 금년도 도입미를 제3국으로 돌리는 문제에 대해서는 관계부처와 협의후 결정하겠다고 답변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