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내 생각은…

기후변화협약 우리 농가도 대비해야 한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9면

최근 보도에 따르면 우리나라 외환위기 당시 약 97조원이라는 엄청난 재산손실을 가져온 엘니뇨가 올해 다시 올 것이라고 한다. 특히 지난 2월 16일 기후변화협약이 발효되면서 기업과 정부의 대응책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세계 9위의 이산화탄소 배출국인 까닭에 어떠한 형태로든 여기에 동참해야 되는 사항이다.

농업 부문도 예외는 아니다. 특히 약 33%의 비중을 차지하는 원예산업은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생각된다. 시설원예의 경우 생산비의 30~40%를 냉난방비가 점유하기 때문이다. 또한 경종(耕鍾) 분야의 인력이 원예산업 쪽으로 이동하고 있어 시설농업 또한 연료 절감을 위한 구조 전환을 할 수밖에 없다.

수도작 농가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논에서 발생되는 메탄가스.아산화질소.이산화탄소 등도 지구온난화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특히 논에서는 많은 양의 메탄가스가 배출되어 지구 전체 메탄가스 배출량의 5~30%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농경지에 사용되는 질소질 비료와 가축 분뇨 등에서 발생하는 아산화질소는 비록 대기 중 농도는 낮지만 지구온난화 잠재력은 이산화탄소의 310배, 메탄의 21배나 된다. 따라서 시설농업에서도 이전과 같은 연료 사용은 규제되어야 한다. 수도작의 경우 논에서의 물 관리, 재배 양식, 양분 관리, 특히 질소 비종에 따라 메탄가스와 아산화질소의 발생량은 달라지기 때문에 시비 및 물 관리에 일대 변화가 필요하다. 물론 교토의정서에 미국이 불참해 이행 자체가 불투명하다는 주장도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처럼 수출 의존도가 높은 나라는 무역에 있어 이미 개별규제를 받고 있고, 앞으로 그 강도가 점차 높아질 것은 뻔한 사실이다. 때문에 강 건너 불구경 하듯 있을 수만은 없다. 우리나라도 2013년부터는 온실가스 감축 대상국에 포함될 가능성이 한층 크다.

따라서 이제부터라도 가스 발생량을 줄일 수 있는 방안과 더불어 정확한 배출량을 알아낼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조림 등 탄소 흡수원 확충사업을 적극 추진하면서, 생물공학을 이용한 새로운 농축산 자원의 발굴 및 응용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 온실가스 감축문제는 선진국만의 문제가 아니다. 8년 후 우리의 문제다.

전성군 농협중앙교육원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