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에볼라 유입 막을 컨트롤 타워가 필요하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4면

193개국 정보통신기술(ICT) 전문가가 참석해 20일 개막하는 ‘부산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전권회의’를 앞두고 에볼라 바이러스의 국내 유입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에볼라 감염 환자가 다수 발생한 기니·라이베리아·시에라리온 등 3개국에서 35명이 이 회의에 참석할 예정이기 때문이다. 지난 9월까지 환자가 발생했던 나이지리아·세네갈·콩고 등 3개국의 입국 예정자도 100여 명에 이른다. 당국은 환자 발생에 대비해 격리 병상을 확보하고 모의훈련을 계획 중이다. 행사장에 역학조사관도 상주시킬 예정이다. 하지만 이 정도로는 국민 불안을 잠재우기에 역부족이다.

 국민을 안심시키려면 에볼라 유입과 전파를 막는 체계적인 방역시스템 마련이 필수적이다. 특히 미래창조과학부·국토교통부·보건복지부·질병관리본부·지자체 등 다양한 부처와 기구 간의 유기적인 네트워킹과 종합적인 협력이 절실하다. 무엇보다 상황이 발생했을 때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면서 과학적이고 전문적인 판단으로 즉각적인 조치를 발동해 골든타임 안에 위기를 종결할 수 있는 컨트롤 타워가 반드시 필요하다. 여러 부처에 나뉜 기능을 하나로 모아 긴급 사태에 신속 대응할 수 있는 ‘에볼라 대응 센터’를 설치해 컨트롤 타워 기능을 맡겨야 한다.

 관문을 잘 지키는 일도 중요하다. 공항에선 항공기 탑승객 전원을 대상으로 체온검사를 하는 수준을 넘어 위험지역에서 입국한 승객은 건강 상태를 정밀 검사까지 하도록 제도화해야 한다. 이들이 입국한 뒤에도 의심 증상을 매일 감시해 보고하도록 할 필요도 있다. 입국자를 기분 나쁘지 않게 배려하면서 촘촘한 방역망을 설치해 국민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충실한 매뉴얼을 만들어야 한다.

 의심자를 발견하면 즉시 격리하고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의료인에 대한 교육·훈련을 강화하는 것은 기본이다. 보호 장구와 장비도 충분히 비축해 의료인들이 안전하게 활동할 수 있도록 배려해야 한다. 피부를 통해 전파되는 에볼라 바이러스의 유입 경로는 과학적으로 이미 밝혀져 있다. 남은 일은 꼼꼼하게 대비하는 것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