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한 귀갓길' 스마트폰이 알려줘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9면

직장 여성들은 앞으로 퇴근길에 스마트폰으로 ‘생활안전지도(사진)’를 미리 체크하고 출발하면 안심 귀가에 다소 도움이 될 전망이다.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이 개발한 생활안전지도 서비스를 안전행정부가 30일부터 시작했기 때문이다. 생활안전지도는 정부가 국민 생활안전에 직결되는 치안·재난·교통·맞춤(취약 계층 대상) 등 4대 안전분야 정보를 스마트폰과 PC를 통해 2차원 또는 3차원 지도형태로 보여주는 서비스다. 인터넷에 접속해 생활안전지도 웹사이트(www.safemap.go.kr)를 방문하거나, 안드로이드 OS가 장착된 스마트폰(아이폰은 10월초부터)에서 생활안전지도 앱을 내려받으면 된다.

 바탕화면에서 치안안전을 클릭하면 성폭력·강도·절도·폭력 등 4대 범죄의 발생빈도가 높은 지역은 붉게, 낮은 지역은 흰색으로 표시돼 있다. 맞춤안전지도는 어린이·여성·노약자 등 안전 취약 계층을 위한 치안·교통 정보를 한눈에 보여준다.

 이 서비스는 서울 송파·성북구, 부산 진구, 인천 남구, 광주 광산구, 대전 서구, 경기도 안양·시흥시, 대구 달성군, 충남 천안시, 충북 충주시, 경북 구미시, 제주시, 전남 무안군, 경남 거창군 등 15개 지역부터 시작됐다.

 정종제 안행부 안전정책국장은 “12월에 100개 지역을 추가하고, 내년말까지 모든 지역으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이재열 안행부 안전관리본부장은 “내년에는 사고안전과 시설안전을, 2016년에는 산업안전과 보건식품안전을 추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장세정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