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대 개도국 외교에 한몫…한국과학 기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근래에 와서 과학기술이 개발도상국 외교의 한 몫을 해 내고있다.
한나라가 발전하자면 결국 과학기술에 의존하는 수밖에 없고, 그렇다고 필요한 과학기술을 함부로 주지도 않을 뿐 아니라 너무 고도화된 기술은 그것을 수용할 국내 학자가 없이는 활용이 불가능하다.
한국은 같은 개발도상국이면서도 이런 점에서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미 2O년에 가까운 개발실적을 통해 어느 정도 공업화가 이루어 졌고, 선진국의 기술을 개도국형으로 바꿀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다.
이번 전 대통령의 아세안 순방에서「상호기술 협력」이란 표현이 자주 사용된 것도 모두 이러한 실적을 바탕으로 나온 것이다.
『부지런한 한국의 산업기술을 배우고 싶습니다. 방법을 가르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최근 과기처 기술협력 국에는 개도국 및 저개발국 학생들의 편지가 자주 날아들고 있다.
아프리카 자이레의「카베야」씨(28)는『한국의 전자산업을 배우고 싶은데 초청해 주면 후에 들어간 경비를 갚겠다』는 편지를 이정오 과기처 장관 앞으로 냈다.
또 지난해 우리정부 초청으로 3개월 훈련코스를 끝내고 돌아간 아프리카 가나의 수산청 공무원「에드먼드·밴더푸에」씨는 좀더 수준 높은 과정을 밟고 싶다는 자신의 욕심을 적어보냈다.
이 같은 사실은 우리가 갖고 있는 과학기술이 개발도상국에서 필요로 하는 것임을 잘 입증 해주고 있다.
한국의 국제 기술협력사업은 기술을 습득하는 것으로 시작됐다.
1951년 유엔자금에 의해 기술인력을 파견하거나 외국에서 가르칠만한 사람들을 초청한 것이 그 효시가 된다.
그 이후 80년까지 1만 7천 4백 24명에 달하는 훈련생을 선진국 및 동남아 등에 파견해 기술을 습득하고 그것을 우리의 실정에 맞게 개발했다.
이와는 달리 63년부터 우리가 가진 기술을 남에게 주는 기술훈련생 초청이 시작됐다. 63∼66년까지 4년간 1백 3명이던 훈련생이 68년 1백 22명, 70년에 1백 77명, 75년 1백 91명, 80년 3백 34명 등. 63년부터 80년까지 모두 87개국 2천 5백 95명에 대한 훈련을 끝냈다. 65년부터는 우리정부 자금에 의한 초청도 병행, 80년까지 5백 65명에 이르렀다.
정부는 금년에 우리 나라에서 훈련받을 인원을 4백∼4백 50명으로 추정하고 있어 작년보다 2O%나 늘어나게 된다.
한편 67년부터는 초청훈련 이외에 전문가를 파견, 현지에서 기술지도를 하는 전문가 파견이 시작됐다.
67년 에티오피아의 도시계획사업을 위해 전문가 1명을 파견한 것을 계기로 그간 니제르에 요업·건축전문가, 베네쉘라에 굴양식, 볼리비아에 광업, 오만에 농업용수 개발 등 34개국에 79명의 전문가들을 우리의 자금으로 파견해왔다.
우리는 아세안 5개국과도 상호기술협력의 실적을 갖고있다.
인도네시아는 지난 67년부터 유엔과 우리 정부의 자금에 의해 80년까지 3백 21명의 기술훈련생이 다녀갔으며, 금년에는 정보산업의 4명 등 모두 22명을 초청하고 2명의 광업전문가롤 파견할 계획으로 있다.
또 한국과학기술원과 인도네시아 과학기술연구소가 자매결연을 해 저질탄이용과 식물을 액체연료화 하는 바이오매스 연구를 공동으로 추진하려는 계획도 세워놓고 있다. 한국동력자원연구소도 인도네시아의 석유가스 기술개발센터와 자매결연을 추진하고 있다.
말레이지아는 63∼80년 사이 69명의 기술훈련생이 우리 나라에 왔었고, 금년에는 12명을 세계식량기구와 합작으로 초청할 방침이다.
싱가포르는 71∼80년 사이 10명의 기술훈련생이 초청됐고(정부자금 초청 1명) 1명의 공업분야 전문가가 파견됐었다.
태국과는 교류가 많은 편. 63∼80년 사이 기술훈련생 8백 18명이 다녀갔고, 1명의 토양전문가가 파견됐었다.
그밖에도 한국과학기술원과 태국 과학기술연구소간에 자매결연을 할 문제가 준비 완료됐고, 한국과학기술원이 축적한 개발연구 성과를 태국에 이전하기로 합의했다.
태국과는 미강유(미강유)를 이용한 식품개발·단세포 단백질생산 등에 관해서도 공동 연구하는 방법을 찾고있다.
필리핀은 63∼80년 사이 1백 58명의 기술훈련생이 왔었고, 금년에는 세계식량기구와 공동으로 6명을 초청하게 된다. 또 75∼79년간 4명의 잠업 전문가가 파견되었다.
앞으로 이 같은 기술협력이 확대될 경우는 전담 부서가 있어야될 것으로 보고 있다. 과기처의 윤영훈 기술협력국장은『정부 각 부처에 분산된 기술협력창구가 일원화되어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으며 앞으로 한해의 기술초청훈련생이 1천명을 넘게되면 전담 부서가 있어야된다』고 말하고 있다.
개도국간의 국제기술협력이「적극적 과학외교」라는 표현과도 같이 우리가 갖고있는 기술을 공여하고 상대국의 앞선 점을 받아들인다면 기술의 교류와 아울러 외교적인 이점도 얻게된다.

<장재열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