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의 수질보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황하를 다스리는 자는 중국천하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 했다. 가뭄과 홍수가 번갈아 일어나는 강줄기는 그만큼 휘어잡기가 힘들다는 말이다.
오늘날 우리의 한강은 이 같은 고대적 의미의 치수조차 제대로 안돼 물난리를 연례 행사처럼 치르는 상습침수지역이 여전히 남아있는데다 오염이라는 현대문명이 낳은 괴물이 날로 그 위력을 더해가고 있어『병든 하천』『죽음의 강』이라는 소리마저 들리고 있다.
8백50만 서울시민의 유일한 젖줄인 한강에서는 하루 3백6만t의 수도물을 만들어 내고있으나 하류인 김포·영등포 수원지에서는 극심한 썩음병 때문에 지난 4월 취수를 중단했고 그 위쪽의 노량진과 선유수원지도 5월 들어 취수량을 절반이하로 줄였다. 한강의 오염이 이처럼 극으로 치닫게되자 서울시는 수없이 되풀이해온 구호를 또다시 들고 나와 「한강 수질 보전 특별대책」이라는 것을 마련했다.
막대한 예산을 들여 하수처리장을 설치한다, 공해업소를 옮긴다하고 떠들어도 결국은 행정기관인 서울시의 외로운 투쟁으로 그치고만 지금까지의 한강보호를 환경청·타 도 등과 연합전선을 펴고 저마다 오염요인을 갖고 있는 시민들의 의식을 일깨워 범국민적으로 한강 되살리기 운동을 펴보겠다는 것이 이번 대책의 골자다.
그도 그럴 것이 수질오염의 요인 가운데 공장폐수는 하루에 불과 40만4천t인데 비해 가정에서 나오는 생활하수량은 8배에 가까운 3백6만여t이나 되어 시민들의 협조 없이 오염원을 근절할 수 없고 또 서울의 아랫물을 맑게 하기 위해서는 경기·강원·충북 등 상류의 조그마한 오염요인도 무시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서울시는 이에 따라 올해 연말까지 6개월 동안 합성세제 사용을 억제하는 캠페인을 벌이고 31만개의 정화조에 대한 청소를 의무화하는 한편 쓰레기나 분뇨를 하천에 몰래 갖다버리지 않는 등 시민 쪽에서 할 수 있는 일을 적극 유도해나갈 모양이다.
그러나 한강이 썩어가도록 내버려두느냐, 아니면 마음놓고 수영할 수 있는 깨끗한 강으로 만드느냐하는 관건은 이 같은 시의 종합대책 보다는 한강변의 기적을 이룩한 서울시민 각자의 손에 달려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홍성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