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5%가 자료모자라 연구에 지장…상호정보 어두워 중복 연구하기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현대는 새로운 산업정보를 계속 흡수하지 못하면 기업의 손재 자체가 위태로을 정도의 정보우선사회가 뒤었다.
그것은 아무리 정보가치가 긴 분야라도 10년을 넘지 못하며 전자부문은 길어야 18개월을 넘기지 못할정도로 기술혁신의「탬포」가 빨라졌기 때문이다.
아무리 선발기업이라도 새로운 산업정보를 무기로 내세운 후방기업에는 당해낼수가 없다.
그런데도 한국의 기업·연구소·학계는 절대정보량의 부족과 정보관리 미숙으로 기술개발및 연구에 많은 장애를 받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국과학기회정보 「센터」 이영시연구원이 행한 정보유통조사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기업·학계가 정보에 대한 실제 투자가 적고 흐름이 잘 연결되지않아 기술개발의 중복, 연구의 지연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일례로 지난6년간의 전문도서 구입현황을 보면▲72년1백19개 기관에 5천3백10종(기관평균 45종) ▲76년 백36개 기관에 7천6백18종(평균56종) ▲78년 l백52개기관에 9천3백54종(평균62종)으로 기관당 연평균 성장이 6종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정보 「셑터」가 구입하는 2천7백송을 빼면 지난해 실제의 기관당 전문도서구입은 42종에 불과하다.
이것은 일본기업의 평균 3백종의 14%밖에 않되는 실정이다.
이연구원은 정보의 부족으로 연구자가 겪는 문제도 커서 77년에 보고된 자료를 보면 우리나라 기업체· 연구소·대학의 3백97명 연구관계자중 50%가 정보가 없어 동종의 연구를 각각 한 중복경험이 있었음을 지적했다. 이것은 일본의 뭍리·화학 관계자의 45%와는 비슷하나 영국의 18%에 뱌해서는 상당히 높운 수치로 인력·시간·물자의 효율적인 이용이 이뤄지지 않았다는 증거가 된다.
또 정보의 부족으로 인한 연구지연이 85·3%(일본45%), 연구가 소홀이 된 경우가 80·4%로 나타났다.
이런 수치들은 모두 정보가 과학기술개방에 필수적 요소가 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OECD(경제협력개발기구)의 과학담당책임자 「알렉산더·킹」 박사는 과학기술이 바탕이 되어 경제적 효과를 거두는데는 과학기술정보의 올바른 선택과 유통 ②산출된연구개발성과를 기업화하는 산업계의 흡수능력에 있다고 말하고 있다.
이에대해 우리나라 30개대기업의 정보이용실태는 평균3명의 인원으로 수집(29업체)·정리 (27업체) 업무에 그쳐 정보의 분석과 평가업무는 전무한 형편이다.
더구나 정보유통을 담당하는 사내매체를 갖고있는 것은 15개업체로 50%에 머무르고있어 일단 입수한 정보를 전달하는 사내유통체제도 재대로 돼있지 못한 실정이다.
또 정보의 다양화와 대량화는 기업의 정보관리문제를 대두시켰다.
정보관리에는 「컴퓨터」이용이 필수적인데 우리의 경우「컴퓨터」를 이용. 정보처리체계가 완전히 확립된 회사는 거의 없는 상황이다.<장재열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