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 교육의 강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최근 대학원 교육의 강화 육성과 체질개선이 시급한 교육개혁 문제의 하나로 제기되고 있다.
우리 나라의 대학원은 1946년 서울대학교 설치령에 의해 처음 설립된 이래 수많은 석사와 박사를 배출함으로써 사회발전에 크게 이바지해 왔음을 부인할 수 없다.
그러나 다른 한편에서 우리 나라 대학원 교육은 도제식 교육을 위주로 한 구 일본식 폐쇄형과 미국식의 개방형이 뚜렷한 원칙 없이 혼합되어 외형적으로는 그럴 듯 하지만 내실은 허점 투성이라는 비판을 받아온 것도 사실이다.
그것은 무엇보다도 그동안 대학원의 설치가 교육의 목적·성격 및 학위평가 기준에 의해 이루어지지 못하고 단순히 외부에 대한 상징적 존재 또는 종합대학의 구색을 위한 하나의 부속 기관 같은 인상을 씻지 못했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그리하여 한때 대학원은 취직을 하지 못한 대학졸업생들의 임시정착지로 전략하는 양성을 띠게 되었고 일부 대학원에서는 박사학위를 양산함으로써 대학원교육의 사회적 공신력을 크게 떨어뜨리는 사태까지 빚었다.
그 단적인 예의 하나가 근래에 와서 갑자기 성행하게 된 경영·행정·산업대학원 등 이른바 특수대학원이다.
대부분 야간으로 설립된 이들 대학원들은 대학원 교육의 신빙성도 확립하지 못한 채 연구생·석사과정 등으로 나누어 춘추로 몇 백명씩의 학생을 모집하고 또 배출해왔다.
이 때문에 대학원 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도 학부교육의 부수물 아니면 무더기 학위 수여기관으로 취급되는 경향마저 없지 않았다.
이런 상황에서 대학원이 한 국가의 학문적 최고수준을 지향하는 고등교육기관의 역할을 다하기는 기대할 수가 없다.
따라서 우리 나라도 이제 대학원 기능에 대한 합리적 정의를 내리고 그 기능수행을 위한 구체적 방어율 적극 무색할 때가 됐다.
그것은 학문을 세계적 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물론 고도산업사회에 대응하는 고급인력의 양성을 위해서도 다급한 일이다.
이런 견지에서 최근 문교당국이 대학원생에 대한 장학금 지급, 교육과정의 강화, 정원 증원책 등을 실시키로 한 것은 때늦은 일이지만 대학원의 체질개선을 위해 매우 다행한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렇지만 대학원 교육을 개선하는데는 우수학생과 교수의 유인체제를 마련하는 것만으로는 흥분치 않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그 보다도 더욱 중요한 것은 이들 대학원 학생과 교수들이 그들의 창의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는 일이다.
대학원 교육의 질이 그 나라의 지적문화의 높이와 폭을 규정하는 결정적 요인이 된다는 점에 비추어 학생들과 교수들이 창의적 연구활동을 활발히 전개 할 수 있게끔 자율성을 보강하고, 필요한 재정을 확보하는 일이 국가적 차원의 정책과제라 할 수 있다.
이는 학생과 교수들의 적극적 연구활동과 후진양성 의욕을 고취하는 길이기도 하다.
그렇기 때문에 대학원 운영의 혁신은 무엇보다도 학사운영의 심화문제를 중심으로 추진돼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지 않을 수 없다.
이를 위해서 각 대학은 자체연구를 통한 자기평가를 강화해야 하고 충분한 재정적 뒷받침으로 다양한「커리큘럼」, 자율적 운영방안 등을 강구해야 한다.
모처럼 마련된 대학원강화시책이 이러한 기본원칙을 바탕으로 추진되기를 바란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