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교육체제 바꾸라는 게 국민의 뜻" 자사고 재검토, 유치원 공영화 내세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진보 성향의 조희연(58) 서울교육감 후보가 5일 오전 1시 현재 당선이 확실시된다. 조 후보는 “민주 진보 후보가 여러 곳에서 당선됐다. 이는 세월호 참사 이후 교육이 변해야 한다는 국민의 뜻”이라고 말했다. 그는 “현재 교육체제는 지속 가능하지 않다.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이 필요한 만큼 앞으로 바꿔 가겠다”고 밝혔다. 그는 “박원순 시장의 서울시와 협력해 서울을 세계 교육 특별시로 만들겠다”고 했다. 출마 선언 때부터 곽노현 전 교육감을 계승한 ‘혁신교육 시즌2’를 슬로건으로 내걸어 서울 교육의 대대적인 변화가 예상된다.

 우선 이명박 정부의 핵심 사업이었던 자율형 사립고가 재검토 수순을 밟게 될 전망이다. 선거기간 동안 조 후보는 “평가를 거쳐 기준에 미달되는 곳은 일반고로, 나머지는 사립형 혁신학교로 전환하겠다”고 밝혔다. 대신 일반고는 학급당 정원을 25명 이내로 감축하고 특별예산을 지원할 방침이다. 유아교육의 공교육화도 점진적으로 추진된다. 학생인권조례와 친환경 무상급식을 전면 확대하는 것도 그의 대표 공약 중 하나다. 자유학기제와 진로체험교육 확대, 인성교육 강화 등 문용린 전 교육감의 정책 중 일부는 그대로 계승할 전망이다.

 중앙고와 서울대 사회학과를 졸업한 조 후보는 1990년부터 성공회대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서울대 재학 당시 “유신헌법과 긴급조치를 철폐하라”는 유인물을 배포한 혐의로 기소됐다 지난해 대법원이 긴급조치 9호 위헌 판결을 내리며 무죄 선고를 받았다. 94년 박원순 서울시장과 함께 참여연대를 창립했고 2011~2013년엔 민주화를 위한 전국교수협의회(민교협) 의장을 맡았다.

 서울교육감 선거는 투표 당일 출구조사 결과가 발표되기 직전까지도 결과를 예측하기 어려웠다. 선거 초반만 해도 조 후보의 지지율은 낮았다. 지난달 28일(MBC·SBS) 조사에서도 조 후보(14.9%)는 1위인 고 후보(26.1%)와 표 차이가 컸다. 그러나 지난달 31일 고 후보의 딸이 “아버지는 교육감 자격이 없다”는 취지의 글을 페이스북에 올리며 선거 판세가 요동치기 시작했다. 고 후보에겐 이혼한 뒤 딸을 제대로 돌보지 않았다는 인식이 퍼지면서 ‘나쁜 아빠’ 이미지가 덧씌어졌다. 이 같은 상황을 ‘패륜’이란 표현으로 지나치게 공격한 문 후보도 고 후보와 공방을 벌이며 막판 표심 잡기에 실패했다. 반면 인터넷을 뜨겁게 달군 두 아들의 지지 글과 유튜브 동영상에 힘입은 조 후보는 ‘좋은 아빠’ 이미지를 만들며 지지율 상승을 이끌었다.

윤석만·신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