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사는데 웬 부산 후보 홍보문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로 도봉이 변화할 수 있도록 투표로 선택해주세요.”

 회사원 박모(32)씨는 2일 서울 도봉구청장 후보로부터 이 같은 문자메시지를 받았다. 박씨는 이런 문자를 지난달 말부터 10번째 받고 있다. 서울시 교육감 후보, 서울 동작구 구의원 후보에게서도 문자가 온다. 하지만 그의 집은 경기도 성남이다. 박씨는 “해당 지역 유권자도 아닌 내 번호를 어떻게 알았는지 불쾌하다”고 말했다. 서울 잠실에 사는 김모(42)씨도 지난주 부산 사하구 구의원 후보 중 한 명을 뽑아달라는 전화를 받았다. 김씨는 “행여 내 개인정보가 돌아다니는 것 아닌지 걱정된다”고 했다. 6·4 지방선거 후보들의 무차별적인 문자메시지와 전화 공세가 유권자들의 불만을 키우고 있다.

 문자·전화가 해당 지역 유권자가 아닌데도 무차별적으로 살포되는 이유는 후보들이 문자 발송업무를 대부분 대행업체에 맡기기 때문이다. 업체들은 해당지역 유권자 정보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불법으로 얻은 개인정보를 이용해 문자를 보내는 경우가 많다.

 유권자 연락처가 절실한 후보들은 이를 알고도 묵인하게 된다.

 선관위 김영헌 공보팀장은 “수사기관이 아니어서 선관위도 그 이상의 경로 추적은 어렵다”고 말했다. 채용재 서울 수서경찰서 수사과장은 “정확한 수사를 위해선 메시지 발송업체 등을 압수수색하는 것이 필수”라며 “하지만 선거로 예민한 시기라 명확한 증거나 제보가 없으면 힘들다”고 했다.

이승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