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농경지의 중금속오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정부는 농작물과 농경지에 대한 중금속 허용기준치를 마련하기 위해 전국농경지를 용도별 및 작물별로 구분, 오염실태정밀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라 한다.
우리가 상식하는 곡물·과실·채소 등 농작물과 그 생산기반이 되는 농경지의 오염은 한마디로 식량증산 과정에서 무절제한 농약살포로 유발된 부작용이라 할 수 있다.
한정된 농경지에서 보다 많은 수확을 올리기 위해서는 다량의 화학비료와 농약을 살포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화학비료와 농약의 남용은 지력의 현저한 감퇴를 가져오고, 지력이 약한 곳에서 자라는 농작물일수록 병충해에 대한 저항력이 약해지므로, 또 이를「커버」하기 위해 농약사용량을 더욱 더 늘려가지 않으면 안 된다.
더우기 농약사용량이 늘어감에 따라 병충의 내성도 강해져 갈수록 독성이 강한 농약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러한 악순환이 거듭되는 가운데 잔류 성이 높은 중금속성 농약성분이농작물에 직접 흡수되고 토양을 오염시켜 인간의 건강과 생명을 위협할 뿐만 아니라 자연계의「먹이연소」를 통해 마침내는 생태계 전체를 파괴하게 되는 것이다.
우리 나라의 농작물 및 농경지 오염의 적신호는 최근에 발생한 담양의 고은석 씨 일가족 중독사건을 들출 것도 없이 곳곳에서 현재화한지 오래다.
이미 74년도에 김포와 이천, 전북의 완주 쌀에서 한계농도 0.00195PPM보다 월등히 높은 0.012PPM∼0.163PPM의 수은이 검출됐고, 특히 김포 쌀에서는0.015PPM의「카드뮴」이 검출 됐었다.
또 얼마 전에는 우리 나라 사람의 체내에 축적돼 있는 중금속 물질의 양이 이웃 일본인에 비해「카드뮴」1.28배, 「크롬」3.5배, 납 3.3배, 수은이 1.6배에 이르며 콩팥 속의 비소는 일본인의 그것에 비해 무려 23.3배가된다는 충격적인 표본조사 결과가 나왔었다.
이런 점을 감안 할 때 지금 우리 나라의 농토 및 그 작물에 대한 오염방지대책은 지금 당장 실시한다해도 시기적으로 너무 늦은 감이 없지 않다.
중금 층의 화는 지금 당장 나타나지 않는다고 안심할 수 없다. 인체나 토양에 흡수된 중금속성분은 95%정도 배출되거나 소실되기까지에는 3∼30년의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 때문에 그에 따른 증상은 7∼10년이 경과한 뒤에 나타나는 경우도 있고, 흔히는 다음세대에 가서 비로소 발병하기도 한다는 것을 알아야한다.
언제까지나 물량위주의 생산실적에만 치중하다가는 생산의 터전인 농경지 자체가 쓸모 없는 것으로 황폐화할 우려가 있음은 물론, 국민보건과 안전이 위태롭게 될지 모른다.
정부당국은 이번에 실시되는 농경지 중금속 오염도 조사결과를 토대로 특정지역 안에서의 오염도가 기준치를 넘을 경우 그 지역에 대한 농작물의재배를 제한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렇더라도 우리 나라와 같은 협소한 국토에서는 환경보전시책이 생산시책에 우선하게끔 정책의 일대전환이 이루어지지 않는 한 농경지는 물론 강·바다로 확산돼 가는 환경악화를 근본적으로 막을 수는 없을 것이다.
당장 눈앞의 증산보다 국민경제의장기적인 건전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환경보전에 보다 큰 역점을 둠으로써 산업발전의 기반을 보존하는 현명이 필수적임을 인식해야할 것이다.
모처럼 마련되는 농경지 오염대책은 이런 점에 각별히 유의하여 증산과 경경보전이 조화를 이루도록 만반의 대비가 있기를 바란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