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1곳도 장담 못 해” vs “숨은 표 여당이 많을 것"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최소 8곳에선 이긴다. 6·4 지방선거를 9일 앞둔 26일. 여야가 자체 분석한 17개 광역단체장 선거의 판세는 일치했다. 어느 쪽도 확실한 승리를 장담하진 못했다. 광역단체장 선거에서 이기려면 9곳 이상을 확보해야 한다. 다만 우세로 진단하는 지역은 달랐다.

▷여기를 누르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새누리당은 “전반적으로 뒤처진 판세”라고 진단했다. 승패를 가를 서울·경기도·인천 등 수도권 3곳 중 단 1곳도 승리를 장담하지 못했다. 윤상현 사무총장은 “서울은 열세, 인천은 백중 열세, 경기도는 접전”이라고 봤다. 최악의 경우 3대 0도 될 수 있다는 뜻이다. 윤 총장은 “열세로 분류된 정몽준 서울시장 후보도 처음엔 박원순 시장에게 앞섰으나 세월호 사건의 변수가 컸다”고 말했다.

 새정치연합은 서울 우세, 인천 박빙 우세, 경기도 박빙 열세로 분류했다. 민병두 선거대책위원회 공보단장은 “겉으로 흐름은 좋게 보이지만 정치지형 자체가 좋은 건 아니다”고 말했다. “세월호 사건 이후 여당 지자자의 숨은 표가 더 클 가능성이 있다”고도 했다.

 수도권에서 여야의 이견이 가장 적은 곳은 서울이다. 최근 4차례 여론조사에서 박 후보는 정 후보에게 평균 14.7%포인트 앞섰다. 한국갤럽의 여론조사에서도 두 후보 간의 격차는 계속 벌어지고 있다. 4일 조사에서 45.6%(박 후보)와 39.2%(정 후보)를 기록했던 지지율은 12~13일 조사에선 47.4%(박)와 37.7%(정), 19~21일 조사에선 53.5%(박)와 34.4%(정)로 나타났다. 보름여 만에 지지율 격차가 6.4%포인트→9.7%포인트→19.1%포인트로 커졌다.

 여당은 중부권의 선전을 기대하는 눈치다. 충청(4곳)과 강원도 등 중부권에선 새누리당이 2승, 새정치연합이 3승을 예상했다. 2010년 선거에서는 야당이 3대 2로 앞섰던 곳이다.

 새누리당은 현재 여당이 단체장을 맡은 대전·세종시를 우세지로 분류하면서 야당 단체장 지역인 충북과 강원도를 접전지로 지목했다. 21일 발표된 한국갤럽의 조사에서 강원도는 최흥집 후보(36.3%)와 최문순 후보(37.9%) 간의 격차가 오차범위 이내였다. 충북은 윤진식 후보가 33.7%, 이시종 후보가 40.5%의 지지율을 보였다.

 야당은 현재 단체장을 확보한 충남북과 강원도 외에 세종시까지 접전지로 예상했다.

 야당은 선거의 변수로 부상한 부산도 ‘접전지’로 분류하며 기대를 나타냈다. 최근 여론조사에서 새누리당 서병수·무소속 오거돈 후보(새정치연합 김영춘 후보와 단일화)의 지지도는 엎치락뒤치락하고 있다. 반면 새누리당은 부산을 ‘우세지역’으로 꼽았다. 21일 한국갤럽 조사에선 두 후보의 지지율이 38.0%로 동률을 기록했다.

 야당은 여당의 기반지역인 대구까지 ‘박빙 열세’로 분류하며 권영진 후보에 맞선 김부겸 후보의 선전을 기대하고 있다.

 새누리당은 박근혜 대통령의 책임정치를 남은 기간 동안의 선거전략으로 제시했다. 윤 총장은 “박근혜 정부의 성공이 대한민국의 성공”이라며 “세월호 사건 이후 새로운 대한민국을 만들겠다는 진정성을 정성껏 전달하는 노력보다 더 좋은 전략은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통령을 중심으로 새로운 대한민국을 만들고 비정상을 정상화하자는 메시지가 먹히면 수도권에서도 이길 수 있다”고 강조했다.

 새정치연합은 총리 인사 등 정부의 쇄신안을 문제 삼으며 정부 책임론을 이어 갈 계획이다. 민 단장은 “세월호 특별법을 이번 주에 발의해 세월호 사태를 수습할 그릇까지 마련할 계획”이라며 “수도권엔 출퇴근자들이 많아 박빙 열세를 보이는 경기도까지 서울·인천 지지층의 전이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박 대통령 지지율 반등세=세월호 참사와 관련한 19일 대국민담화 이후 박 대통령의 지지율은 반등세로 돌아섰다. 한국갤럽이 19~22일 유권자 1204명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에서 박 대통령의 지지율은 48%를 보였다. 전주보다 2%포인트 높아졌다. 지지율 상승은 50대 이상에서 뚜렷했다. 50대는 68%, 60세 이상은 77%가 박 대통령의 직무 수행에 긍정적 태도를 보였다. 반면 20대(56%→61%)와 40대(46%→52%)는 담화 이후 부정적 평가 비율이 오히려 높아졌고 30대는 62%로 변화가 없었다.

강태화·천권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