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2500여 명 '집단무덤'… 손 놨던 당국 수색 재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1면

2일 아프가니스탄 북동부 바다흐샨주의 아비바리크 마을을 덮친 산사태로 2500여 명이 사망·실종했다. 산사태로 깎여나간 진흙산과 함께 흙더미에 파묻힌 가옥들이 보인다. [AP=뉴시스]

공포 뒤에 슬픔이, 슬픔 뒤에 무질서와 분노가 생존자들의 마음을 갈가리 찢어놓고 있다. 2500여 명의 목숨을 앗아간 지난 2일(현지시간) 아프가니스탄 북동부 산사태 이야기다.

 6일 AP통신 등에 따르면 약 1000가구가 살던 바다흐샨주 아비바리크 마을은 말 그대로 폐허로 변했다. 약 5㎞에 이르는 산기슭 일대가 최고 높이 70m에 이르는 진흙더미에 파묻혔다. 2일 오후 첫 산사태로 주택 300여 채가 매몰된 뒤 구조 활동에 나선 이웃주민들마저 추가 산사태에 휩쓸리면서 희생 규모가 커졌다.

산사태가 덮친 아비바리크 주민들이 유엔 등이 나눠주는 구호품을 받기 위해 앞다퉈 손을 뻗고 있다. 이재민만 5000명에 달한다. [AP=뉴시스]

구조 작업이 소득이 없자 당국은 이튿날 수색을 중단하고 이 지역을 ‘집단 무덤’으로 선포했다. 샤 왈리울라 아뎁 주지사는 3일 “피해자들의 명복을 기원하며 5000명에 달하는 이재민 구호에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유족들이 이에 거세게 반발했다. 그러자 당국은 6일 이들이 가족·친지의 시신을 찾아 매장할 수 있도록 약 400명을 투입해 수색작업을 재개했다.

하지만 피해지역이 험준한 산악지대인 데다 진입로마저 흙더미에 유실돼 포클레인 등 중장비 반입도 불가능한 실정이다. 사태 발발 이후 현재까지 수습된 시신은 300구 정도에 불과하다. 주민들은 제 손으로라도 구하겠다며 삽과 괭이로 진흙더미를 파헤치고 있지만 불가항력이다.

 살아남은 주민들은 추가 산사태에 대비해 안전지대로 대피했다. 유엔아프가니스탄지원단(UNAMA)과 아프가니스탄 적신월사 등이 음식·식수·의약품·텐트 등 구호품 공급에 나섰지만 턱없이 더딘 형편이다.

 힌두쿠시산맥과 파미르고원 사이에 자리한 바다흐샨주는 아프가니스탄에서도 손꼽히는 빈촌이다. 하루 0.6달러(약 620원)로 살아가는 주민이 90만 명에 이른다. 빈곤율이 아프간 평균의 두 배다. 식수·전기도 없이 농사와 방목으로 연명하는 주민들에게 행정력이 미쳤을 리 없다. 전체 사망자 수를 가늠하기 어려운 이유도 인명 등록 등 기초통계가 안 되어 있기 때문이다.

 피해자 구호도 주먹구구로 이뤄지고 있다. 피해 가구를 가려내는 역할을 마을 원로들에게 기대다 보니 이들과 친밀한 이웃 주민들이 피해자 행세를 하며 생필품을 타가는 일이 빈번하다. 형제자매와 조카들을 잃은 한 50대 남성은 “어제부터 기다렸는데 아무것도 받지 못했다. 원로들이 자기 친인척만 먼저 챙긴다”고 비난했다. 뉴욕타임스는 6일 “지방 관료 및 지도자들의 이해관계, 행정 인프라 부족 등 고질적인 문제가 구호 차질을 빚고 있다”고 지적했다.

 하미드 카르자이 대통령은 4일을 산사태 피해자를 기리는 추모일로 선포하고 애도를 표했다. 대선 결선 경쟁이 유력시되는 압둘라 압둘라 전 외무장관과 아슈라프 가니 전 재무장관 등 많은 정치인이 방문했지만 ‘집단 무덤’을 배경으로 촬영한 사진을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올려 시민들의 분노를 샀다.

 중앙아시아 내륙국인 아프간은 대부분이 산악 지형으로 지진대에 걸쳐 있는 데다 부실한 진흙가옥이 많아 자연재해에 취약하다.

강혜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