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지수 편제의 다원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도매 물가지수가 이달부터 개편되어 70년 기준에서 75년 기준으로 옮겨지게 되었다.
소비자 물가지수도 도매 지수와 같이 75년 기준으로 지난 1월부터 이미 바뀌었거니와 이처럼 5년마다 물가지수의 기준 연도를 바꾸는 것은 이론적으로나 현실적으로 그 필요성이 공인되고 있는 터이므로 조금도 부자연스런 것은 아니다.
즉 경제의 구조적 내용이 변동됨으로써 각재화의 상대적 가치가 달라질 뿐만 아니라 국민경제에서 차지하는 점유도가 달라지는 것을 보다 잘 반영시키기 위해서는 물가지수를 5년마다 개편하는 것이 개편하지 않는 것 보다 합리적이다.
그러므로 지수 개편 자체에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라 얼마만큼 현실을 잘 반영할 수 있는 지수, 그리고 정책 자료로서 가치 있는 지수를 만들어 내느냐가 더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경제 성장 속도가 빠르면 빠를수록 물가지수와 국민이 체험하는 물가 사이에는 괴리가 있는 것으로 널리 인정되고 있으나 지금까지의 이론이나 통계적 처리 기술로써는 이를 극복할 수 없다는 것이 상식이다.
때문에 물가지수의 신뢰성에 대해서 많은 의문이 제기 되고 있는 것을 상기할 때 물가지수를 편제하는 관계 기관에서는 이 문제를 보다 성실하게 해결하는 방법을 찾아내야 할 것이다.
통계적으로 도매 물가나 소비자 물가지수를 산출하는 최선의 방법은 기술상 한정되어 있으므로 이용자나 소비자들의 불변은 우리가 알 바 아니라는 태도 속에 안거해서는 안 된다.
어차피 어떠한 방법으로 물가지수를 편제해도 결함이 있고, 사실을 충분히 반영시킬 수 없는 것이라면 하나의 대안으로서 물가지수 편제의 목적을 다원화시키는 것도 검토해 볼 만한 가치가 있을 것이다.
지금과 같은 도매 물가 소비자 물가 지수 말고도 가령 예를 들면 임금재만 따로 분류해서 임금재 가격 지수를 산출한다든지 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또 소비자 물가지수의 경우도 평균 소비자 지수만을 산출할 것이 아니라 소득 계층별로 상중하층을 분류해서 각기 지수를 산출하는 노력도 필요하다.
이러한 지수 편제 방식의 다원화가 기해진다면 경제 정책을 다루는데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자료를 얻을 수 있다. 임금재 가격 지수는 임금 정책·분배 정책에 매우 유익한 자료가 될 것이며 소득 계층별 지수는 물가 변동이 각 소득 계층에 미치는 영향과 그것이 사회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게 매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물가 통계를 작성하는 이유가 경제 정책의 성과를 측정하고 장래 정책의 조정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받는데 있는 것이라면 현재의 도매·소비자 물가라는 이원 방식을 보완할 수 있는 다원화 방식도 시도해 볼만한 가치가 있을 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