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수 소생을 위한 대 역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서울의 젖줄인 한강이 「침묵의 강」으로 돼 버리는 비극만은 결단코 막아야 한다.
서울시가 21일 한강의 수질 오염을 근원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한강 양안에 오수 전용 하수도를 설치하고, 하류에 2개의 「광역 하수 처리장」을 건설키로 한 것은 맑은 한강을 되찾고 생동하는 한강을 길이 보전하려는 결의에 찬 의욕을 읽을 수 있어 흐뭇하다.
밝혀진 바에 따르면 77년부터 91년까지 15년간에 걸쳐 1천89억원을 들여 한강 북안은 성북구 뚝섬에서 수색까지 23㎞의 강변에 금호천 등 14개 지류에서 나오는 오수를 모아 흘러내리게 하는 「시멘트」 도수관을 시설하고, 고양군 지도면에 이 오수를 정화하는 북부 하수처리장을 건설한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한강 남안에는 강남구 암사동에서 영등포구 마곡동까지 안양천 등 7개 지천의 오수를 흡수하는 43㎞의 도수로를 시설하고 김포군 고촌면에 남부 하수 처리장을 건설하기로 돼 있다.
서울시가 한강에 유입되는 하천마다에 하수 처리장을 건설하려던 당초 계획을 변경하여 이 같은 대단위 종합 하수처리장을 설치기로 한 것은 청계천 하수 처리장을 건설 운영한 데서 얻은 교훈 때문이다.
한강 오염 방지를 위해 서울시는 내자 30억, 외자 31억원을 들여 지난 9월21일 청계천 하수 처리장을 준공, 가동 중이고 또 중랑천 하수처리장도 총 공사비 86억원(내자 46억원, 외자40억원)을 투입, 78년에 완공 예정이다. 그런데 건설비가 이처럼 막대할 뿐 아니라 유지비 또한 엄청나 그 비 경제성이 드러난 것이다.
앞으로 지천 단위 처리 시설을 10개만 더 만들어도 2천억원이 소요되고 연간 유지비만도 2백억원이 돼 보다 경제적인 방안으로 광역 하수 처리장을 건설키로 했다는 것이다.
이 공사가 완성되면 지금까지 중랑천·욱천·금호수·안양천·마포천 등 대소 하천을 통해 하루1백만t이상 쏟아져 들어가던 탁수·폐수가 한강 본류에 섞이지 않게 돼, 기형어 소동까지 벌였던 병든 한강은 깨끗한 옛 모습을 되살리게 될 것이 분명하다.
그렇게 되면 7백만 서울 시민과 70만 인천 시민을 비롯한 수백만 유성 주민들의 식수원으로서는 물론, 공업용수·농업용수로서도 더 없이 긴요한 역할을 다할 것이 아니겠는가.
내년부터 착수될 측량을 비롯한 기초 조사 과정에서 문젯점들이 재검토·보완될 것이나 우선 우리의 의견 몇 가지를 피력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번 계획에서 제외된 암사동 상류 덕소 방면의 공장 폐수 처리 문제다. 이 지역에는 「워커힐」을 비롯, 제지 공장·조미료 공장 등 많은 공장과 주택이 들어섰는데, 여기서 나오는 공장 폐수는 「오염자 비용 부담 원칙」에 의해 자체 정화 시설을 갖춰 처리케 하고, 일반 가정은 정화조 시설을 하도록 의무화해야 하겠다.
둘째, 여의도에서 흘러나오는 오수는 거리가 얼마 안 되는 남부 도수로로 직류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의치 않을 때는 공공건물과 「아파트」경우, 자체 정화 시설을 구비하고 일반 가정에서 배출하는 하수도 공동 정화조 시설을 통해 일단 거른 뒤에 방류케 해야 할 것이다.
다음은 한강 본류와 지천과의 상관관계를 면밀히 조사, 본류보다 하상이 낮은 하천에는 「펌프」 시설을 하여 양수 유입시키는데 차질이 없어야 한다.
셋째, 도수로가 직도·도로 밑을 통과하는 난공사에 대비해야 하고 농로를 가로질러 갈 때는 통행에 지장 없도록 교량처럼 가설해야 하며 부득이 지상에 설치하는 경우엔 경관을 해치는 일이 없도록 유의해야 한다.
끝으로 「메탄·개스」 폭발의 위험성에 대비하고 준설 문제도 신중히 고려해야 하겠다.
청계천 복개로 같은 소규모의 경우에도 이미 문제가 되고 있다는 사실을 감안, 이 국가적 규모의 대 역사에 만의 하나라도 소홀함이 없도록 각별히 당부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