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개 생활권」 형성으로 도심 인구 집중 막아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서울시의 고질화된 교통 문제는 60년대 이후 무계획한 변두리 지역 개발, 잠실 「아파트」 등 고밀화된 대단위 주거 지구의 급증에 따른 교통 대책을 제대로 세우지 못한 것과 위성 도시의 증가로 도심에의 교통량이 폭주한 것 등 장기적 도시 정책이 부족했던 때문으로 분석됐다.
16일 열린 『서울시 교통 대책 「세미나」』에서 『토지 이용면에 있어서의 해결 방안』이란 주제를 발표한 서울대 행정대학원 최상철 교수는 이같이 지적하고 그 대책으로 ▲도시를 다핵화하여 주거·직장간의 거리 단축 ▲대단위 「아파트」 지구에 지하철 등 고속 대형교통 수단 연결 ▲중학 학군제를 세분화하여 통학 통행을 줄이는 것 등 도시 구조의 개편을 통한 근본적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 교수에 따르면 60년대 이후 서울시에서 실시된 토지 구획 정리 사업은 1천7백80만평에 이르러 2백만명 이상의 주민이 늘어나는 등 엄청난 평면 확장이 이루어졌으나 이를 위한 자체 생활권이 형성되지 않아 결국 도심과의 교통량만 폭주하게 됐다는 것이다.
더구나 신시가지와 중심시가지를 연결하는 대중 교통 수단이 전혀 개선되지 않은 채 80%이상을 시내 「버스」에 의존시켜 시간과 방향이 일치하는 도심에로 출근하는 시민들을 교통 지옥에 떨어뜨렸다는 것.
최 교수는 이같은 실정을 타개하기 위해서 중구·종로구 등 구시가지를 중심으로 한 도심의 단핵 구조를 구시가지 영등포구·잠실·영동을 축으로 하는 3핵 도심권으로 분산시켜 현재의 도심 집중 현상을 해소시킬 장기적 정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최 교수는 또 통학 교통이 차지하는 교통량의 비중이 미국 2·8%, 일본의 7·3%에 비해 서울의 경우 24·5%에 이른다고 들고 출근 시간과 등교시간의 시차를 1시간 이상으로 확대 「러쉬·아워」의 집중을 막고 중심 시가지에 밀집한 사설학원을 변두리로 이전시키는 한편 중학 학군제를 세분하여 중학생의 등교거리를 도보권으로 묶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 교수는 또 「보틀·네크」 현상을 보이고 있는 소공동·남대문로 일원의 고밀도화 계획을 재고하여 통행량을 억제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