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hi] "성추행 저지른 지도자들 멀쩡히 돌아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사라예보의 영웅.

 한국 스포츠계에서 영웅 칭호를 받은 원조가 새누리당 이에리사(60·사진) 의원이다. 1973년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의 수도 사라예보에서 열린 제32회 세계탁구선수권대회 단체전 우승을 이끌면서다. 이젠 태릉선수촌장도 지낸 체육계의 어른이다. 겨울올림픽이 한창인 14일, 이 의원을 만났다.

 - 겨울올림픽을 지켜보는 소감은.

 “그간 우리 겨울스포츠는 쇼트트랙에만 의존해 오다 2006년 토리노 겨울올림픽에서 이강석이 500m 스피드 스케이팅 동메달을 따면서부터 다른 가능성을 보이기 시작했다. 그 열매가 밴쿠버의 모태범·이상화였고, 김연아까지 나왔다. 기적 같았다. 이를 계기로 평창 겨울올림픽을 유치했고, 겨울스포츠의 씨앗들도 뿌려졌다. 그러나 이때부터 쇼트트랙은 지뢰밭이 되는 느낌이었다. 경쟁이 너무 치열해졌다.”

 - 안현수 얘기를 안 물을 수 없다.

 “(체육계는) 조급함 때문에 문제가 터지면 근본적으로 도려내지를 못해 왔다. 문제가 부각되면 들끓다가 곧 ‘없던 일’이 된 경우가 부지기수다. 안현수만 하더라도 어마어마한 사건이었다. 승부조작 시도에 불응하는 선수에게 불이익을 줬다는 얘기도 돌았다. 시합을 못 할 정도로 안현수가 부상 중이었는데 선발전 날짜를 잡아버리면서 기회를 안 줬다. 실업팀을 가려 했지만 못 가게 막았다는 소문도 있었다. 월드스타가 원치 않게 잠자고 있으니 여기저기서 오라고 손짓하는 게 당연하다. ”

 - 왜 그런 문제를 못 고치나.

 “책임 묻고 사퇴시킨다고 관행이 바뀌겠나. 제도를 정착시켜야 한다. 지도자가 성추행 등의 범죄를 저질러도 십중팔구는 ‘너한테 피해가 갈 수 있다’는 등의 회유와 압박으로 합의를 한다. 그러면 없던 일이 되고, 그 사람은 멀쩡히 지도자로 돌아온다. 다시는 이런 이들이 발 못 붙이게 해야 한다. 스포츠는 선수가 중심이다.”

 - 이상화 선수가 단연 화제다. 잘 아나.

 “잘 아느냐고 묻는 게 어색할 정도로 가깝다. 내가 선수촌장이었을 때, 이미 대표선수였다. 근성이 대단하다. 악바리 아니면 저렇게 스케이트를 못 탄다. 상화의 목표는 우승이 아니라 신기록이었다. 신기록은 숫자다. 숫자가 보이니 신나게 하더라. 여성성을 즐길 줄도 안다. 고등학교 졸업하기도 전에 귀걸이를 하고 나타났더라. 당돌하게 예뻤다.”

 - 후배 선수들한테 하고 싶은 얘기는.

 “인생에서 승부를 걸 수 있는 기회는 몇 번 없다. 운동선수들의 젊음은 특히 중요하다. 부조리한 현실에 ‘왜 저래?’ 하며 침묵하지 말고 당당히 나서라. 모든 일은 어른 탓이다. 그렇지 않아요?”

권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