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삼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해삼위」는 우리의 귀에도 별로 생소하지 않다. 일제 아래서 항일 투사들은 함경도의 나진을 지나 두만강을 건너 그리로 갔었다. 두만강은 겨울이면 얼음이 덮여 육로나 마찬가지였다.
이준 열사가 1907년「헤이그」만국 평화회의에 참석할 때도 이 해삼위에서「시베리아」횡단기차를 탔었다. 「하르빈」으로 가던 안중근 의사도 해삼위를 지나갔다.
3·1운동당시엔 해삼위에서도 유랑 독립 투사들의 기염이 담긴 선언문이 발표되었었다.
「해삼위」를 소련 지명으로는「블라디보스토크」라고 부른다. 『동방의 주인』이라는 뜻. 그 이름이 암시하듯 이 도시는 소련 동남단, 연해주의 주항이다. 마치 노천극장처럼 자리를 잡아, 뒤로는 금각만이 둘러 싸여 있고, 앞으로는 한반도와 만주, 그리고 동해를 굽어보고 있다. 소련의 지도를 보면 이상하게도 이 도시의 지명은 기입되어 있지 않다. 그 만큼 군사적으로 중요한 요위지이다. 소련은 태평양으로 뻗는 함대의 기지를 여기에 두고 있다. 한반도의 북단과는 직선거리로 불과 1백60㎞(4백리)떨어져 있다.
「블라디보스토크」는 1850년대에 탐험되어 1858년 애혼 조약에 의해 청국에서「러시아」로 넘어갔다. 「러시아」는 할양 받은지 두 해 만에 이곳에 수송대를 파견, 군사기지를 만들었다. 1880년대엔 벌써 연해주의 중심항구가 되었다.
「시베리아」횡단 철도와 연결된 것은 1903년. 「모스크바」와는 무려 9천㎞의 거리로 이 철도와 맺어져 있다.
19세기말엔 극동에 있어서「러시아」문화의 중심지로 유명한 동방 연구소가 개설되기도 했다.
「러시아」가 이 항구를 개발할 무렵엔 인력이 모자라 한국의 유랑 이민에게 널리 문호를 개방했었다. 지금도 많은 교포들이 이곳에 살고 있다고 한다.
「러시아」혁명 당시인 1918년 봄엔 한대 반혁명군이 일어나 이 도시에「시베리아」임시정부가 수립된 일도 있다. 이것은 미·영·일군의 상륙과「체코슬로바키아」군대의 원조에 힘입은 결과였다. 그 임시정부는 1920년에 전복되고 말았지만 그 이듬해 미·일의 간섭에 의해 다시 반혁명이 일어났었다. 그러나 1922년10월 혁명군 잔당이 이곳을 다시 점령, 결국은「러시아」공화국에 합병되었다.
이런 곡절의 역사만 보아도「블라디보스토크」는 근대사의 중요한 무대였던 것을 알 수 있다. 미국으로서도 생소한 곳만은 아니다. 국제적인 의의가 있는 고장인 것이다.
겨울이면 항구는 얼어붙지만 쇄빙선으로 충분히 해로를 틀 수 있다. 조선·수산가공·건축자재·기계공업으로도 유명하다.
그러나 이곳에서의 미·소 정상회담이 한반도의 기상에 어떤 영향을 줄지 궁금하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