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태 총장 "국민 신뢰 되찾자" 검사도 강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대검찰청이 검사들의 비리 근절방안 구체화에 나섰다. 법무부가 검사의 공직자 의식 강화를 위해 ‘검사도(檢事道)’의 체계적 정립을 모색 중인 것과 맞물려 있다.

 대검은 지난 5일 신임 검사는 3개월간 독자적 수사를 하지 못하게 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수습제도’ 시행에 들어갔다. 이후 이틀 만인 7일 오후 서울 서초동 대검 청사에서 전국 47개 고검·지검 등의 감찰 담당 부장검사가 참여하는 회의를 열었다. 각 지검·지청에 분산됐던 감찰 기능을 2011년 대검 감찰본부 중심으로 재편, ‘감찰 일원화’ 및 ‘책임 감찰제’를 시행한 이래 네 번째 회의다. 김진태 검찰총장은 모두발언에서 “국민적 신뢰를 되찾기 위해 공직 기강과 신상필벌의 원칙을 확립하되 대상자가 승복하는 치밀하고 바른 감찰을 해 달라”고 당부했다.

 회의에서는 ▶감찰 역량 강화 ▶비리의 사전 예방 ▶ 청렴교육 방안 등이 집중 논의됐다. 또 최근 감찰 사례와 최신 감찰 기법이 소개됐으며 “감찰보다는 예방이 중요하다”는 점이 강조됐다. 적발된 업무 불성실자는 퇴출시키자는 제안도 나왔다. 대검은 앞으로 사무감사를 강화하고 사무감사 때 청렴교육도 병행키로 했다. 대검의 한 간부는 “2012년 ‘뇌물검사’ ‘성추문 검사’를 필두로 지난해 ‘해결사 검사’까지 겪으며 바닥까지 추락한 검찰의 신뢰 회복을 위해 ‘검사도’ 교육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가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