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상「테이블」에 오른 키프로스「3일 작전」|제네바 3국 평화회담의 전망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키프로스」사태는 일단 확전의 고비를 넘기고 정치적 협상으로 해결을 모색하게 됐다. 그러나「터키」·「그리스」·영국 등 이해당사국은 물론 미·소의 입김에 이들 국가의 이해와 견해가 상반돼 분쟁의 원인을 완전히 제거할 타협안이 이 정치협상에서 나오리라고 보기는 어렵다.
「키프로스」문제해결을 위해 열린「그리스」·「터키」·영국의「제네바」회담의 초점은「키프로스」정부의 형태를 어떻게 규정할 것인지에 두어질 것으로 보아 틀림없다.
「마카리오스」축출전의 상태로 환원시켜야 할지, 아니면 현「삼프손」정권을 인정해야 할 것인지, 또는 두 인물을 모두 제외한 제3의 인물을 옹립할 것인지가 첫 문제로 대두될 것이다.
현재의 상황으로 보아 이 세 가지 방안 중「삼프손」정권의 인정은 그 실현성이 가장 희박하다. 「터키」와 영국이 처음부터「키프로스」의 정변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지켜왔기 때문이다. 제2의 가능성인「마카리오스」의 복귀는 거의 불가능할 것으로 보이던「터키」군의 진주전에 비해 약간 유리해졌으나 그 실현가능성은 어렵다고 보아야할 것이다.
당초 그의 복귀에 회의적인 태도를 보이던 미국의 태도가 어느 정도 누그러지기는 했으나 그에 대한 불신감이 뿌리깊은데다가 현재「키프로스」정부를 장악하고있는 세력의 의견을 전혀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이다.
결국 가장 실현성이 있는 방안으로는 이들 두 인물이 아닌「중립적」인 제3의 인물을 찾는 것이다.
이 제3의 인물추대란 당초 미국이 의도했던 방향으로의 해결을 뜻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당장「키프로스」의 정부형태에 관해 3국이 합의한다해도 근본적인 문제가 남는다. 「키프로스」를 합병하려는「그리스」의 입장, 양국계 주민거주지역을 분할하려는「터키」의 입장이 이 협상에서 해결되지는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막후 협상을 벌여온 미·영의 미묘한 견해차 즉 친「그리스」계「키프로스」정권을 희망하는 미국의 견해와 원상복구로「키프로스」의 기득권을 유지하려는 영국의 견해는 그 해결을 복잡하게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NATO의 구성원으로서「터키」가 소련의「성원」을 업고 취하고 있는 강경 태도가「동맹」의 명분을 내세우고 펴는 미·영의 설득작전에 어느 정도 누그러질지도 주목된다. <김동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