엇갈린 국어순화 운동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우리말과 글을 다듬자는 운동이 요즈음 뜻 있는 인사들에 의하여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이 같은 운동이 전개되고 있는 배경에는 국민의 일상 국어 생활에 관한 두 가지 비판적인 상황 인식과 거기에서 출발하는 두 가지 상이한 개혁 동기가 엇갈려 있는 것 같다.
한쪽은 제2세 국민, 이른바 한글 세대의 국어 실력이 우려할이 만큼 저하되고 있다는 상황판단이다. 그리고 자라나는 어린이들이 『제나라 말도 제대로 모르는 교육을 받고 있다』는 비판은 이네들이 「한글 전용 교육」의 희생자라는 점에서 그릇된 어문 정책에 그 화살을 돌리고 있다. 이에 대한 개선 정책은 따라서 다시 국민학교부터의 한자 「교육」의 부활 내지는 강화로 귀착되고 있다.
한편 다른 쪽은 이와는 정반대 되는 상황 인식이 전제가 되고 있다. 국어의 실력 저하는 한자를 몰라서라기 보다도 우리의 어문 생활에서 다른 외래어와 마찬가지로 한자어가 너무 과용되는데서 기인한다고 보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고유한 우리말로써도 충분히, 그리고 아름답게 표현될 수 있는 낱말들조차 굳이 한자어로 표시하는 버릇이 조장됨으로 해서 국어의 의사 통달의 기능이 마비되고 있다고 이들은 본다. 이에 대한 개선 대책은 따라서 급진적이건, 점진적이건 한글의 전용화에 귀착된다고 주장한다.
국어 생활의 개선을 위한 이같이 엇갈린 두 입장의 논쟁은 결코 어제 오늘에 시작된 것이 아니다.
되풀이되는 논의의 이념적 내용이나 거기에 수용되는 경험적 조사 자료도 이제 별로 새로운 것이 없다. 뿐만 아니라 이 논쟁의 매듭이 지어질 전망도 가까운 장래에는 없어 보인다.
국어순화의 문제는 여기에 있고 바로 여기에서 출발한다고 보아야 한다. 그렇지만 한자 교육론과 한글 전용론 사이의 논쟁의 귀결 여하에 아랑곳없이 우리에겐 결코 무시할 수 없는 두 가지 현실적 요청이 있다.
첫째, 교육이 적어도 교육이 최소한의 구실을 다하기 위해서는 피교육자로 하여금 그들이 그 안에서 자라나고 그 안에서 생활하게 될 문화 환경을 이해하는데 차질이 있어서는 아니 되겠다는 요청이다. 「말」과 「글」은 곧 이 문화 환경의 근간을 이루는 기호 체계이다.
따라서 교육을 받고서도 과거 및 현재에 있어 제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는 말과 글을 이해하는데 조차 미흡하다면 그 교육은 충분한 것이라고는 할 수 없다. 뿐만 아니라, 모든 문화란 필시 역사적 소산임을 인정할진대, 그 문화 환경의 중추를 이루는 말과 글에 대한 교육이 어떤 동기에 의해서든, 그 역사성의 단절을 가져올 수 없음도 자명한 이치에 속한다.
둘째, 다른 한편으로 해방 후 지금까지 한글전용교육 내지 한자제한교육을 받고 자라난 세대도 그들 나름대로의 어문 생활을 하고 있다는 주장 또한 전혀 근거가 없지는 않을 것이다.
구시대의 한자 내지는 한문 교육을 받은 사람의 눈에는 개탄할이 만큼 국어 실력이 저하되어 있는 것처럼 보일지 모르나, 그들은 그들대로의 국어로 문예 창작을 하고, 의사 소통을 하고 있다는 주장이 그것인 것이다. 게다가 나라마다 표음문자를 사용하는 것이 세계적인 추세일뿐더러 눈으로 보아야 이해 할 수 있는 말이 아니라 귀로 들어 이해 할 수 있는 말이 말의 본래적인 형태이기도 하다. 따라서 어문 생활의 「미래」에 관한 이상을 말하는 한 이 같은 동태적인 이해도 물론 그것 나름대로의 뜻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긴급한 것은 학교의 국어 「교육」과 사회 일반의 국어 「생활」사이의 「갭」을 좁히는 일이다. 학교의 국어교육은 이미 소여로서 주어져 있는 문화 환경에 스스로 접근할 수 있고, 사회 일반의 어문 생활을 이해하는데 조금도 뒤짐이 없도록 해야 되겠고, 사회 일반, 특히 「매스·미디어」는 어문 생활의 장래할 흐름에 자진해서 호응하고 적응하는 노력이 아쉽다고 본다. 한자어를 빼고서도 순수한 우리말로써 사색하고 창작하고, 행동할 수 있는 미래를 개척하는 것이야 말로 모든 지식인과 「매스·미디어」의 공통적 노력의 목표가 되어야 할 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