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스트리아」·「이탈리아」 상대국 역사교과 토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세계 각국에서 자국의 역사·문화를 재정립하려는 움직임은 과거 어느 때보다도 활발한 느낌이다. 일제의 왜곡된 식민지적 사관 때문에 우리의 역사를 민족사관에 입각해 바로 정리하려는 노력이 전개되고 있는데, 한걸음 나아가 「이탈리아」와 「오스트리아」에서는 상대국의 역사 서슬문제로 양국학자의 의견을 교환하고있어 화제를 모으고 있다.
「이탈리아」와 「오스트리아」는 이들 두 나라에 관련된 역사기술을 중심으로 해서 두 나라의 역사서들을 다시 쓰고 있다.
「이탈리아」의 「파비아」대학 근대 및 현대사연구소와 「빈」에 있는 「오스트리아」문화연구소의 두 연구단은 지난해에 세 차례에 걸쳐 회합을 갖고 「이탈리아」와 「오스트리아」 두 나라의 각급 학교에서 사용되는 검인정 역사교과서에서 상대국에 관한 역사기술의 수정을 제안했었다.
이 합동연구단의 보고는 상당히 우호적이면서도 경쟁적인 것을 내포한 것이었다.
양측은 처음에 두 나라의 역사서 들이 일반적으로 공경하고 객관적이었다는데 동의했다. 그러면서도 「오스트리아」 역사가들은 자기나라가 「이탈리아」 역사서에서 지금보다는 더 중요하게 다뤄져야한다고 주장했다.
가령 819년 독일의 남부지역에 거점을 두었던 「포포·바벤베르크」1세부터로 연원을 갖는 「바벤베르크」가의 「오스트리아」 통일왕조건국에 대해 「이탈리아」의 역사교과서들이 많은 배려를 해야겠다는 것이다.
976년 「레오폴드」1세로부터 1246년까지 「오스트리아」 왕국의 기반을 굳힌 「바벤베르크」가의 선단에 관해서 더 많은 관심이 있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한편 「이탈리아」연구단은 중세후기를 취급함에 있어 「오스트리아」 역사가들이 독일적 전통에 중심을 두는 나머지 교황에 의해 대표되는 「로마」의 전통을 무시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오스트리아」사가들이 「이탈리아」항해자들과 그 시대의 신세계 탐험에 대해 거의 관심을 갖지 않았다는 것도 지적되었다.
두 나라가 적대관계에 있었던 1차 세계대전에 관해서 「이탈리아」사가들은 「오스트리아」사서들에서 아직도 젊은 속자들에게 「이탈리아」에 대한 나쁜 인상을 주게될 수도 있는 몇 가지 내용이 발견되고 있다고 우려했다.
2차 대전에 대해서도 「무솔리니」의 「이탈리아」가 부각되는 나머지 「오스트리아」사가들은 「이탈리아」의 저항운동과 반「파시스트」활동을 무시하는 과오를 범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에 대해 「오스트리아」사가들은 중앙 「유럽」에 있어서 중립적 세력균형을 유지하는 2차 대전후의 「오스트리아」의 역할을 「이탈리아」사가들이 어디에서 언급한 적이 있느냐고 반문, 이에 맞섰다.
역사사실들에 대한 이 같은 상호교환 토의는 계속 될 예정이다. <워싱턴·포스트=본사특약>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