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강경파 "장외투쟁" 지도부 압박 … 박지원 "쇠 달았을 때" 위원 사퇴 촉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최근 정국은 국정원 댓글 사건 국정조사, 2007년 남북 정상회담 대화록 공개 문제 등을 놓고 새누리당 ‘친박(박근혜계)’과 민주당 ‘친노(노무현계)’가 강경하게 대립하는 양상이다. 여기에 민주당에선 친노가 중심이 된 대여 강경파와 온건파 간에 노선갈등 조짐도 보인다. 특히 김한길 민주당 대표는 현재 당내 강경파와 온건파 사이에 끼인 ‘샌드위치’ 신세라는 평가가 많다. 강경파 의원들은 최근 당 지도부와 상의 없이 독자적인 행보를 하는 모습을 자주 노출했다. 당 지도부의 통제권 밖에 있는 모습이다.

 김 대표가 ‘귀태(鬼胎·태어나지 않아야 할 사람)’ 발언에 유감 표명을 하면서 수습해 놓은 정국에 이번엔 친노계 좌장으로 꼽히는 이해찬 당 상임고문이 찬물을 끼얹은 게 대표적 사례다. 홍익표 전 원내대변인의 ‘귀태’ 발언은 물론 최근 친노계 박범계 의원의 권영세 주중 대사 녹취록 폭로, 김현·진선미 의원의 국조특위 사퇴 요구에 대한 반박 기자회견 등도 지도부와 조율되지 않은 돌출성이었다. 강경파들은 자꾸 국회 밖으로 나가자고 장외투쟁을 압박하기도 한다. 정치개혁과 ‘을(乙)지키기’를 간판으로 내세웠던 김 대표지만 야당 대표로서 투쟁성을 과시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그는 이날 이 고문이 ‘위험 수위’의 발언을 쏟아낸 충청권 당원보고대회에 참석해 “대통령의 정통성이 걱정된다면 대선 전후에 벌어진 정치공작의 전모를 숨김없이 밝히라”며 대여공세에 가세했다.

 온건파는 다른 방향에서 지도부를 쪼고 있다. 최근 친노강경그룹에 대해 비판적 입장을 보이고 있는 박지원 의원은 지도부가 김현·진선미 의원을 빨리 사퇴시키지 않는 데 비판적이다. 박 의원은 트위터에 “쇠가 달궜을 때 내려치는 대장장이의 지혜! 왜 민주당은 식었을 때야 내려치나? 지도자는 때로는 신속 잔인한 결정을 해야 한다”고 썼다. 그는 본지와의 통화에선 “국민이 왜 민주당은 늘 요구만 하고 받아들이지는 않느냐는 분위기가 강한 것 같다”며 “지도부가 황금 같은 시간을 허비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수도권의 한 초선 의원은 “국정조사를 일찍 시작하는 게 우리에게 유리한 상황인데 특위 위원 구성 같은 부차적 문제로 여당과 싸워봐야 아무런 실익이 없다. 지도부가 이렇게 대응해선 이도저도 안 될 것”이라고 했다.

이윤석 기자

알려왔습니다  위 기사 중 ‘김현·진선미 의원이 당 지도부와 조율 없이 국정원 국정조사특위 위원에 대한 사퇴를 요구하는 새누리당에 대한 반박 기자회견을 열었다’고 보도한 데 대해 김 의원은 “저를 포함한 민주당의 특위 위원들은 매일 오전 자체 회의를 열어 제반 사항을 논의하고 있고 따라서 반박 기자회견도 특위 차원에서 미리 논의했으며, 또 특위엔 신경민 최고위원이 참여하고 있는 등 해당 기자회견은 특위 및 지도부와의 조율 속에 이뤄졌다”고 알려왔습니다.

관련기사
▶ 靑 "대통령 정통성 부정은 국민에 대한 도전"
▶ 박 대통령, "박정희 누구한테 죽었느냐" 이해찬 발언에…
▶ 청와대, 이해찬에 "끝까지 말 좀 잘했으면 좋겠다" 비판
▶ 이해찬, 대통령을 "당신" 지칭하며 "국정원과 단절 안하면…"
▶ 김한길 "대통령 정통성 걱정된다면 전모 숨김없이 밝히라"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