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약사업 진척도 ⅓ 미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가정의례준칙의 시행이 날이 갈수록 희미해지는 것을 못마땅해 온 박정희 대통령은 14일 준칙시행에 청와대 비서실이 솔선수범 하도록 당부하면서 『화환·화분은 꼭 필요한데만 보내라』는 서면 지시를 이후락 비서실장에게 내렸다.
박 대통령의 이 지시에 따라 국경일과 전국 규모의 위령제에는 조화를 보내고 외국의 국경일에는 그 나라 공관에 화분을 보낸다는 내규를 정해 대통령의 승낙을 얻었다고.
이 내규에 의하면 국내 주요인사나 외국 원수의 경조사에는 축전 또는 조전을 보내는 것은 그치기로 했다는 것.
『6·8공약사업을 내년도 예산에 최대한 반영해주겠다』는 박 대통령의 약속에 따라 공약 사업을 다시 추리고 있는 공화당은 현재까지의 진척이 부진하기 때문에 사업범위를 축소, 조정해야할 형편이라고.
6·8공약사업은 전국적으로 5천5백89개 항목인데 완공된 것이 1천1백67개 사업, 진행중인 사업이 1천2백62개로 평균 진척도는 3분의1에도 미달.
도별로 보면 제일 잘된 곳은 경북으로 43.6%, 가장 부진한곳은 충남의 22.3%이며 서울이 32%, 부산이 40.7%, 경기 34%, 경남과 제주가 38%의 진척도를 보이고있다.
민간연구단체의 활용방안을 짜오던 국토통일원은 최근 몇몇 단체를 골라 자료와 연구비를 지원하고 그 연구 결과를 받아내기로 했는데 그중에는 「한국 통일문제 연구소」와 고대 「아세아 문제연구소」 등이 들어있다. 특히 전·현직교수·언론인·종교인·군사전문가 등 21명의 회원으로 지난 달에 발족한 한국통일문제 연구소(이사장 신도성씨)는 명지대 안에 사무실을 얻어 그간 회원들의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네번째의 「세미나」를 가졌는데 주로『통일의 기회』와 『북괴가 과연 소련과의 방위조약이 끝나는 71년 안에 전면 남침을 감행할 것인가』의 문제를 깊이 다루고 있다.
통일원은 이들「세미나」에 정책기획실장 이하 직원들을 파견, 발표내용을 샅샅이 「메모」하여 자료로 정리하고.
최고회의 때의 헌법 심의록이 없어졌다고 해서 신민당이 이를 국회에서 문제산았는데 국회사무처 측은 『중도에서 없어진게 아니라 최고회의에서 인계를 받지 못했다.』고 해명하고있다.
국회 도서관의 한 간부도 『최고회의에서 인계받지 못한 것은 그뿐이 아니라 또 있을 것 같은데… 중요한 서류가 어딘가 있기는 있을 것』이라고-.
그러나 신민당의 김영삼 총무는 헌법 심의속기록을 봤는데 개헌조항에 관한 심의자료만 없어졌으니 수상한게 아니냐』고 의아심을 풀지 못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