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남기고] 고건의 공인 50년 (73) 소선거구제 도입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7면

제13대 총선거를 앞둔 1988년 2월 평민당 당원과 시민 4000여 명이 중선거구제를 소선거구제로 바꾸라고 주장하며 서울 중구 명동성당 주변에서 시위를 벌이고 있다. 시위대 중 한 명이 ‘중선거구 막아내어 민정당을 몰아내자’는 내용의 피켓을 들고 있다. 평민당은 김대중 총재(전 대통령)가, 민정당은 노태우 대통령이 이끌고 있었다. [중앙포토]

1987년 7월 10일 전두환 대통령에게 독대를 청했다. 둘만 있는 자리에서 말을 했다.

 “제 역할은 다한 것 같습니다. 연말에 대통령 선거가 있습니다. 여당 당적을 가진 사람이 선거 주무부처인 내무부 장관을 맡아서는 제대로 일을 수행할 수 없습니다. 국회로 복귀시켜 주십시오.”

 “음, 그래요. 당신 말이 맞네.”

 전 대통령은 내 요청을 흔쾌히 받아들여줬다. 사표를 쓰진 않았지만 네 번째 공직 사의였다. 다음 날 전국 시·도지사들에게 전화를 걸어 “내 역할이 끝나서 이제 물러난다. 그동안 수고했다”고 인사를 했다.

 7월 12일 일요일 대통령 주재 오찬이 잡혔다. 약속 장소인 청와대 녹지원에 도착했는데 깜짝 놀랐다. 나를 비롯해 장관 6명이 와 있었다. 전 대통령이 의원 겸직 장관 모두를 부른 것이었다. 내 이론을 전 대통령이 확대 적용해버렸다. 난감했다.

 밥을 먹기 전 티 테이블에 둘러앉았다. 전 대통령은 “수고했다”고 말하며 봉투 하나씩을 6명에게 줬다. 전별금이었다. 나는 조심스럽게 말을 꺼냈다.

 “저, 한말씀 드려도 되겠습니까.”

 “그래, 그러세요.”

 “조기상 정무 제1장관은 입각한 지 두 달밖에 안 됐습니다. 그리고 정무장관은 원래 당적이 있는 사람이 맡도록 돼 있지 않습니까. 면제해주시죠?”

 “예외 없어. 그냥 원칙대로 다 해야지. 저기 이세기 체육부 장관도 올림픽을 앞두고 있지만, 원칙대로 하는 게 좋겠어.”

 그러더니 전 대통령은 나웅배 상공부 장관을 보며 말했다.

 “아 참, 나웅배 당신은 어떻게 할 거야.”

 나웅배 장관은 전국구 의원으로 지역구 의원인 다른 장관들과는 상황이 달랐다. 나 장관은 바로 답했다.

 “아, 네. 전 남겠습니다.”

 장관을 계속 하는 대신 의원직을 포기하겠다는 얘기였다. 그런데 전 대통령 반응이 재미있었다.

 “그래, 그럼 남아. 그거 이리 줘.”

 전별금 봉투를 돌려달라는 뜻이었다. 정말 그는 나 장관 몫의 봉투를 회수했다.

 7월 13일 개각 발표가 났다. 두 달의 짧은 내무부 장관 생활은 그렇게 끝났다. 난 세 개 부처 장관을 거쳤지만 재임 기간은 교통부 6개월, 농수산부 14개월, 내무부 2개월에 불과하다. 다 합쳐도 1년10개월이다. “장관을 세 번 했다” “직업이 장관이다” 등의 말을 들을 때마다 민망했던 이유다.

 민주정의당 의원으로 돌아가자마자 새로운 임무가 맡겨졌다. 선거구제를 뜯어고치는 일이었다. 87년 개헌을 앞두고 선거제도연구 소위원회가 구성됐다. 위원은 나와 구용상·유흥수·김중권 의원 등 다섯 명이었다. 소위가 마련한 선거구제 개정 방안은 두 가지였다. 1안은 1구 1의원의 소선거구제, 2안은 인구 비례 지역대표제인 중·대선거구제였다. 소위의 협의를 거쳐 88년 1월 초 노태우 대통령 당선인에게 보고를 했다. 이 자리에 이재형 국회의장, 채문식 민정당 대표가 참석했다.

 이 안을 가지고 원내 4당은 협상에 들어갔다. 민정당의 심명보 사무총장과 나, 통일민주당의 황낙주 의원, 평화민주당의 김봉호 의원, 공화당의 최재구 의원 등 각 당에서 대표들이 모여 협상한 결과 소선거구제로 결론이 났다.

 선거구 획정은 ‘투표의 등가성(等價性)’과 ‘지역 대표성’이 조화되는 선에서 이뤄져야 한다. 선거구를 획정하는 데 합리적인 기준이 필요했다. 나는 한 선거구에서 뽑는 의원 정수와 유권자 수와의 비율인 선거구별 인구 편차의 허용 범위를 3.5 대 1로 한정했다. 이때 우리나라에선 처음으로 투표의 등가성이란 개념을 도입했다.

 소선거구제는 동반 당선에 대한 비판을 일소하는 효과를 거뒀다. 88년 3월 8일 소선거구제를 바탕으로 하는 의원선거법 개정안은 4당 합의로 국회를 통과했다. 우리 정치사에 한 획을 그은 일대 사건이었다.

 소선거구제는 지금도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모든 정책엔 부작용이 있다. 선거 정책도 예외는 아니다. 소선거구제 때문에 영·호남을 기반으로 하는 지역 패권주의 정당이 출현했다. 우리 정치가 한 단계 성숙하는 것을 방해하는 요인이다. 소선거구제를 입안한 사람으로서 이 문제를 오랫동안 고민했다. 지난 2010년 사회통합위원장으로 일하며 한국정당학회와 함께 석패율제 도입을 주장하기도 했다. 그 생각은 지금도 변함이 없다. 새 정치를 하려면 비례대표제 의원 수를 늘리고 독일이나 일본처럼 석패율제를 도입해야 한다.

정리=조현숙 기자

[이야기 속 지식] 석패율제(惜敗率制)

지역구에서 높은 득표율을 기록하고도 애석하게 패배한 후보를 비례대표 의원으로 당선시키는 제도. 일부 지역구 후보가 비례대표 후보로 이중 등록하도록 허용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