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한송전 계획‥‥그 문제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2차 5개년계획 사업중 성공적인 표본으로 등장했던 전력부문이 19일을 기해 제한송전을 단행함으로써 「에너지」 공급 면에 근본적인 차질을 초래-.
상공부는 가뭄 때문에 일시적인 제한송전이 불가피하게 되었다고 하나 파고 보면 가뭄 이외에 제3의 요인으로도 전력공급에 위험성을 항상 지니고 왔던 것.
그것은 현재 발전용량이 총76만9천kw(화력 55만kw·수력 21만kw·기타 도서지구 발전시설 9천kw)인데 가뭄이 없었던 평상시 야간 최대 전력수요가 76만kw로 수·화력발전이 1백% 전출력을 발전해왔다는 사실.
발전은 최소 10%의 예비전력을 확보하고 항시 총용량의 70%∼80% 가동이 정상발전이라는 것을 감안, 가뭄에 의한 수력발전의 차질이 아니라도 화력발전 중 어느 하나라도 고장이 생긴다면 전력부족을 면치 못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비료 등 화학공업은 하루 단전할 경우 공장의 운휴 기간은 실질적으로 10∼15일(단전 후 재가동까지 소요기간)에 달한다는 점을 참작하여 생산 면에 타격이 큰 업종에 대해서는 제한송전을 일률적으로 단행할 수 없다는 점을 뒤늦게 포착하고 업종별 송전 우대조치를 강구중이라고.
문제는 이 사태는 가뭄에 의한 10만kw의 발전 감소에만 원인이 있는 것이 아니며 5개년계획기간 중 당초 95만kw용량을 계획했다가 중도에 81만4천kw로 축소 조정했다는 원인과 오래 전부터 전력행정에 「구멍」이 나 있었다는 것을 제한송전을 계기로 드러났을 뿐-.
이 제한송전이 산업생산의 감소와 이에 따른 생산감소 생산원가고 등에 비추어 물가고를 부채질하는 최고의 요인임은 부인할 수 없다. <신>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