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우리말 바루기] 투표에 붙여서 결정한다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10면

예전에는 크리스마스 카드를 예쁘게 만들어 친구들이나 선생님께 보내고 연하장도 직접 쓰고 우표를 붙여 지인들에게 부치는 일이 연례 행사였다. 그러나 컴퓨터와 스마트폰이 널리 퍼지면서 이제 직접 쓴 카드나 편지는 구경하기조차 어렵게 됐다. 선물도 애써서 포장하고 또박또박 주소를 적어 소포로 부칠 필요가 없어졌다. 인터넷에서 클릭 몇 번만 하면 백화점이나 농산물·수산물 산지에서 알아서 척척 보내 준다.

 ‘부치다’와 ‘붙이다’는 위 글에서 보듯 자주 쓰는 표현이고 헷갈릴 이유가 없을 것 같지만 의외로 잘못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편지나 물건을 어디로 보낼 때는 “내가 어릴 때는 카드를 직접 만들어 부쳤어”처럼 ‘부치다’란 표현을 쓴다. 논밭을 이용해 농사를 짓는 경우에도 “그의 아버지는 소작 논 네댓 마지기 부치는 게 전부인 가난한 농사꾼이다”처럼 ‘부치다’를 쓴다.

 사건이나 안건 등을 공판이나 토론에 회부하거나 투표를 통해 해결하려 할 때도 “이 건은 토론에 부칩시다” “수도 이전은 국민투표에 부쳐서 결정해야 한다”와 같이 ‘부치다’를 쓴다. 이런 경우 ‘토론에 붙입시다’ ‘국민투표에 붙여서’로 잘못 쓰는 사람이 많으니 주의하자. 반면 달라붙어 떨어지지 않도록 하거나 가까이 닿도록 할 때는 ‘붙이다’를 쓴다. “여섯 사람이 앉을 수 있도록 식탁 두 개를 같이 붙여라” “이 안내문을 게시판에 붙이는 게 좋겠어” 같은 경우다.

 ‘붙이다’나 ‘부치다’가 다른 말에 붙어서 쓰일 경우 더 혼란을 느낄 수 있다. 다음 예문들을 살펴보자. “그는 팔을 걷어부치고 나섰다.” “그렇게 몰아부치지 마세요.” “그녀는 내게 날카롭게 쏘아부쳤다.” “무조건 밀어부친다고 되는 게 아니에요.” “그는 옷을 벗어부치고 싸움에 뛰어들었다.” 이 가운데 마지막 문장만 옳게 쓴 것이며 나머지는 ‘걷어붙이다’ ‘몰아붙이다’ ‘쏘아붙이다’ ‘밀어붙이다’를 사용해야 한다. 이들은 무언가에 힘을 가해 한쪽으로 붙여 놓는다는 느낌이 들기 때문에 ‘붙이다’를 쓰는 것으로 짐작된다.

김형식 기자

▶ [우리말 바루기] 더 보기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