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늦게 뛰어든 한국 광구 5곳 탐사권 확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9면

부존자원이 부족해 산업의 쌀로 일컬어지는 구리·니켈 등 주요 금속 자원의 대부분을 수입하는 우리나라는 심해 자원 개발에 적극 나서고 있다. 심해 자원 개발은 엄청난 잠재력으로 인해 정부가 국가 기술개발 사업으로 중점 추진하는 분야다.

 우리나라는 유엔해양법협약에 따라 1994년 8월 태평양 공해 클래리언-클리퍼튼 해역에 심해저 망간단괴 개발광구(15만㎢)를 국제해저기구(ISA)에 등록, 세계 7번째 망간단괴 광구 확보 국가가 됐다. 이후 탐사를 계속 진행해 남한 면적의 4분의 3에 해당하는 7만5000㎢의 독점 개발권을 따냈다. 이 지역 내 망간단괴 매장량은 5억6000만t이다. 연 300만t 규모로 채광할 경우 100년 이상 개발 가능하다.

 정부는 2008년 4월 남서태평양 통가의 배타적경제해역(EEZ) 내 2만4000㎢의 해저열수광상에 대한 독점 탐사권을 획득했다. 정부와 대우조선해양·삼성중공업·SK네트웍스·LS-니코동제련·포스코가 공동 설립한 해저열수광상개발사업단은 2009~2012년 270억원을 투자해 이 지역의 자원 매장량과 경제성을 평가했다. 2011년에는 통가 인근 피지 EEZ에 해저열수광상 독점 탐사권을 얻었다.

이와 함께 지난해 7월에는 ISA로부터 인도양 공해에서 제주 면적의 5.4배에 달하는 1만㎢의 해저열수광상 독점 탐사권을 확보했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은 우리나라가 확보한 해저열수광상에서 20년간 연 30만t을 채광할 경우 총 65억 달러(약 7조원)의 금속 자원 수입을 대체하는 효과가 있다고 추정했다.

 국토해양부 해양신성장개발과 송준석 사무관은 “심해저 자원 개발은 엄청난 잠재력으로 인해 주요 국가들이 사활을 걸고 추진하고 있다”며 “현재 미국·일본 등에 비해 다소 뒤처져 있는 우리나라의 해양 자원 기술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려 귀중한 심해 자원을 확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정재홍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