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노트] 개보수로 새로워진 울산문예회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난 16일 울산시 달동 울산시 문예회관(1천4백84석) 에서 열린 울산.부산.창원.김해 시립합창단의 합동무대'가을밤에 듣는 꿈의 남성합창'(지휘 나영수) .

관객들은 평소 멀게만 느껴졌던 무대가 훨씬 가깝게 다가옴을 느꼈다. 박수소리도 유난히 크게 들렸다.

지난 7~9월 3개월간의 음향 개보수 공사를 끝낸 울산문예회관이 더욱 풍부하고 명료한 소리로 시민들에게 첫선을 보이는 순간이었다.

9억여원의 예산을 들인 이번 공사의 핵심은 잔향시간(殘響時間.RT) 을 1.03초에서 1.42초로 늘린 것. 음향반사판을 합판에서 하드우드(미국 웽어사의'디바') 로 교체하면서 두께가 9㎜에서 50㎜로 늘어나 반사율도 높아졌다.

또 홈 형태의 흡음재 위주의 객석 벽체를 돌출형태의 반사재로 교체했고 바닥도 카페트를 뜯어내고 고무타일로 마감했다.

울산시(시장 심완구) 가 문제의 심각성을 느끼기 시작한 것은 울산 현대예술관(9백62석.RT 1.5초) 이 1998년 개관하면서부터.

상대적으로 울산문예회관은'나쁜 공연장'이라는 인식이 팽배하기 시작했고, 첼리스트 미샤 마이스키.장한나, 소프라노 조수미, 바이올리니스트 김지연 등 유명 연주자들도 현대예술관으로 발길을 옮겼다.

이번 공사를 맡은 환경음향연구소 김용국 소장은"광주.전주를 제외한 대부분의 지방 공연장들의 RT는 1.0초 내외"라며"음악전용홀이라면 RT를 더 늘려야 하지만 마이크.스피커도 사용하는 다목적홀임을 감안해 국립극장 해오름극장 수준인 1.42초로 정했다"고 밝혔다.

공연장르에 따라 최적 RT는 연극이 1.2초,오페라는 1.5초, 오케스트라가 2.0초다. 국내 공연장 중에는 세종문화회관이 1.3초,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은 2.0초다.

개관한 지 6년밖에 안된 데다 지금까지 지방 문예회관에서 음향 개보수 공사를 벌인 전례가 없어 반발도 적잖았다.

하지만 울산문예회관은 지난 6년간 공연실적을 분석, 클래식 음악이 공연 장르의 54.6%를 차지한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보이지 않는 것'에 대한 울산시와 시의회의 과감한 투자가, 객석수와 겉모양에만 연연할 뿐 정작 공연의 질에는 소홀해온 다른 지방 문예회관에 어떤 파급효과를 일으킬지 주목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