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등 5개 차세대산업에 5년간 10조원 투입

중앙일보

입력

`국가 유전체 정보센터'' 설립 추진

-정부, 차세대 성장산업 발전전략 확정-

정부는 정보기술(IT).바이오기술(BT).나노기술(NT).환경기술(ET).문화기술(CT) 등 5개 산업을 차세대 성장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올해부터 2005년까지 모두 10조원의 예산을 투입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산업별 전문인력을 집중 양성하고 연구개발 기반을 대폭 확충해 우리경제를 고부가가치 지식산업 위주로 개편하기로 했다.

정부는 17일 오전 청와대에서 김대중(金大中) 대통령 주재로 제8차 국민경제자문회의를 갖고 이런 내용의 차세대 성장산업 발전전략을 확정했다.

정부는 전체 연구.개발(R&D) 예산 가운데 IT 등 5개 산업에 대한 배정 비중을올해 29.1%에서 2005년에는 43.2%로 크게 확대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5개 산업에 올해는 1조2천865억원, 2002년 1조6천500억원, 2003년 2조원, 2004년 2조4천억원, 2005년 2조8천500억원이 각각 지원된다.

산업별 발전 전략을 보면 IT 산업의 경우 5년간 1조원을 투자해 실무 중심으로20만명 이상의 전문 인력을 기르고 대학의 IT 교육을 보증하는 `공학교육 인증제도''를 도입하기로 했다.

정부는 2005년까지 전자상거래 비중을 현행 3.2%에서 18%로 높이고 외국의 현지대리점, 중개인, 우수기업 등 1만개를 국내 IT 중소벤처기업 제품의 해외 판매거점으로 구축, 활용하기로 했다.

BT 산업 육성을 위해서는 향후 5년간 생물정보학 등 첨단 기술분야를 중심으로5천명 이상의 전문인력을 추가 양성하기로 했다.

또 강원, 대전.충북, 경북, 전라.제주 등 4개 권역별로 바이오 산업단지를 지정하고 내년부터 본격 추진하기로 했다.

생명공학연구원에는 `국가 유전체 정보센터''를 설립해 BT 산업의 연구개발에 필요한 유전체 정보를 제공하기로 했다.

정부는 게임, 애니메이션, 방송영상 등 CT 산업의 유망 분야 전문인력 4만명을5년간 양성하고 비정규과정의 콘텐츠 기획인력의 배출에 중점을 두기로 했다.

아울러 미래 에너지원을 확보하고 국제적인 환경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대체에너지의 실용화, 이산화탄소(CO₂) 저감기술의 집중 개발 등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또 NT 산업의 연구인력을 향후 10년간 1만2천600명 양성하기로 했다.
(서울=연합뉴스) 김문성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