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입 전략 이렇게 고1·2 수시 대비 <상> 비교과 관리해 학생부 중심 전형부터 공략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05면

많은 학생이 상위권 대학 진학을 꿈꾸지만 현 대입제도 아래서는 공부만 해선 안 된다. 상위권 대학의 수시모집 비중이 70%에 이르고 수시 추가합격 실시 때문에 정시로 들어가는 문이 좁아졌기 때문이다.

 재학생이 경쟁력을 가지려면 수시를 공략하는 수밖에 없다. 수시전형 종류가 수천 개지만 이름만 다를 뿐 틀은 크게 네 가지다. 학생부 중심 전형, 논술 전형, 특기자 전형, 기타 전형. 이 중 일반 학생에겐 앞의 세 가지만 해당된다. 학생부 중심 전형은 두 가지로 구분된다. 교과성적만으로 선발하는 ‘학생부 100%’ 전형과 학생부와 비교과 실적을 함께 반영하는 ‘포괄적 입학사정관 전형’이 그것이다. 상위권 대학에선 후자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크다. 학생부 중심 전형이라도 내신은 물론 비교과도 잘 관리해야 한다.

 경희대·서울시립대·연세대·한양대는 교과성적으로 1단계에서 일정 배수를 선발하고, 고려대·서강대·서울대·성균관대·이화여대·중앙대·한국외대는 교과·비교과를 일괄 합산해 평가한다. 앞의 대학들은 내신이 후자 대학보다 더 좋아야 한다. 이들 대학은 정해진 공식에 따라 내신을 반영하기 때문에 특목고·비평준화고·자율형사립고 학생들은 지원이 힘들다.

 반면에 후자의 대학들은 학교 간 차이를 고려해 평가하므로 내신 경쟁이 치열한 학교에서도 지원할 수 있다. 수시 전형 중 논술 전형의 선발인원이 가장 많지만, 경쟁률이 높아 불확실성이 크다. 고 1·2라면 학생부 중심 전형부터 노려야 한다. 학생부 중심 전형은 선발인원이 많으며, 훗날 내신이 낮아도 스펙 관리만 잘하면 자기추천 전형, 수학·과학 특기자 전형으로 선회할 수도 있다.

 학생부 중심 전형을 노린다면 비교과 관리를 어떻게 하는가 고민해야 한다. 상위권 대학 합격생들의 스펙을 보면 ‘범용적 스펙’과 ‘진로 관련 스펙’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전자는 지원 학과와 무관하게 널리 요구되는 스펙들이고, 후자는 전공과 관련된 스펙이다. 입학사정관제는 학업성적만으론 잠재력을 평가하기 힘들어 다양한 활동을 통해 학생의 능력을 평가하려 한다. 이 평가의 수단이 되는 것이 전자다. 대학에선 진로에 대한 강한 열정을 가진 학생이 입학 후 학업성취도가 높다는 것을 알고 있다. 이때 판단 기준이 바로 후자다.

장학수 에버스터디 대입연구소장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