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제비 절감해 인센티브주고 현지조사 대상 선정?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약제비를 절감했다며 인센티브를 받은 의원이 동시에 약제비를 너무 많이 사용해 현지조사 대상자로 선정되는 기이한 상황이 도마 위에 올랐다.

감사원은 '건강보험 약제관리실태'를 발표하고 "외래처방 인센티브제도와 지표연동관리제를 모순되게 적용 한 사례가 있다"며 이 두 제도를 합리적으로 연계하는 방안을 마련하라고 통보했다.

외래처방 인센티브는 의원에서 전년 6개월 대비 올해 6개월의 약제비를 비교해 약제비가 절감되면 절감액의 20~40%를 인센티브로 지급하는 제도다. 약제비 절감을 위해 마련됐다. 지표연동관리제도는 전체 의원 중 약제비 발생이 많은 상위 15% 의원을 관리 대상으로 선정해 차후 현지조사와 요양기관 평가 등과 연계하는 제도다.

그런데 외래처방 인센티브 사업에서는 다른 의원급 요양기관이 쓰는 약제비와 비교 해 해당 의료기관이 얼마나 고가약을 많이 쓰는지와 상관없이 그해 의원에서 전년대비 올해 절감 된 약제비가 있기만 하면 인센티브를 지급한다. 때문에 지표연동관리제에서 약제비를 많이 사용하는 상위 15%에 포함되더라도 외래처방 인센티브 사업과 연계되지 않아 같은 기관이 인센티브를 받으면서 동시에 현지조사 대상으로 포함되는 모순이 발생하는 것이다.

실제로 지난 해 상반기 외래처방 인세티브를 받은 의원 중 10%는 전국 평균 대비 약제비를 30% 이상 고가로 처방해 지표연동관리제도상 계도 대상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이 챙긴 인센티브는 총 17억원에 이른다.

이 두 제도를 관리하는 부서는 모두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원평가실 약제비관리부다.

감사원은 "두 제도가 중복되는 건 관리부서에서도 쉽게 파악할 수 있었을 것"이라며 "그런데도 여전히 외래처방 인센티브와 지표연동관리제를 연계하지 않고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감사원은 외래처방 인센티브와 지표연동관리제도를 합리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라고 통보했다.

[인기기사]

·프로포폴 사망 또…간호조무사 모텔서 숨져 [2012/10/22] 
·[포커스]후보물질 선정에 피도 눈물도 없다!!! [2012/10/22] 
·한의사가 자외선으로 피부치료 한다? [2012/10/22] 
·일양약품-대웅제약 손잡고 가장 싼 세계 최저 백혈병치료제 공급 [2012/10/22] 
·[이 약 아세요?] 탈모치료제 프로페시아 [2012/10/22] 

이민영 기자 tia@joongang.co.kr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