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좋은 대학→ 큰 회사, 산업시대 성공방정식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1면

한국교육개발원(KEDI)이 개원 40주년을 맞았다. 1972년 ‘콩나물 교실’ 해소를 목표로 문을 연 개발원은 이젠 교육정책 ‘싱크 탱크(Think tank)’로 자리매김했다. 입학사정관제 등도 개발원의 아이디어에서 시작됐다. 연구과제가 대부분 정부정책과 밀접하게 연관돼 있어 개발원이 정부와 ‘코드 맞추기’를 한다는 비판도 받는다. 80년대 신군부의 과외금지조치를 이론적으로 뒷받침하기도 했고, 70년대엔 재수생 탈선이 사회문제화 되자 박정희 대통령의 지시로 3수생 이상은 대입시험에서 감점하거나 응시를 금지하는 대책을 내놓기도 했다.

 김태완(64·사진) 한국교육개발원장은 12일 서울 우면동 사옥에서 가진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좋은 대학 나와서 좋은 대학 가는 걸 최고로 치는 건 옛날 산업사회에서 통하던 성공방정식”이라며 “지식사회에선 인성이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 원장은 계명대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하다 2009년 개발원장에 취임했다.

 - 입시경쟁이 이렇게까지 치열한 이유는 뭔가.

 “온 사회가 좋은 대학 나와서 좋은 직장에 들어가는 게 성공이라는 획일화된 성공방정식에 갇혀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보니 ‘성공하면 행복해지니까 그때까지 참아라’고 가르친다. 산업사회에선 통했다. 창의력이 중요한 지식사회에선 아이들이 행복해야 더 잘할 수 있고 성공할 수 있다.”

 - 어떻게 바꿔야하나.

 “최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들은 학력보다 능력(ability)을 중요시한다. 능력은 크게 세 가지다. 지적인 능력과 사회성, 도전정신이다. 우리는 그동안 국어·영어·수학 등 지적인 능력만 가르쳤다. 그러나 다문화 사회에선 소통능력이나 문제를 혼자 해결해가는 자율성도 꼭 필요하다.”

 그는 최근 교육계 현안인 교육감 직선제에 대해 ‘공동등록제’를 대안으로 제시했다. 교육감 후보와 광역단체장 후보가 함께 출마해 선거운동을 하는 방식이다. 다만 교육감 후보는 특정정당에 소속되지 않는다.

 - 공동등록제의 장점은.

 “교육의 정치적 중립을 지키면서도 지자체와 협력해 함께 풀어나갈 수 있다는 점이다. 지금은 지자체장과 교육감을 따로 뽑다보니 정책 협력도 잘 안 되고 예산도 비효율적으로 집행된다. 피해는 고스란히 학생과 학부모에게 돌아간다.”

 김 원장은 “미국과 일본의 경우 대부분 지자체장이 교육감을 지명한다”며 “뉴욕의 경우 시장이 검찰 출신 인사를 교육감으로 임명해 학력수준이 낮은 학교는 지원을 축소하는 등 교육개혁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한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