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정 경제토론회 비공개 진행키로

중앙일보

입력

'정부와 여야 3자의 경제토론회' 를 하루 앞둔 18일 참석자들은 전략짜기에 바빴다.

정부 경제팀과 민주당.한나라당의 경제 전문가들이 모이는 이번 토론회는 집권 후반기 DJ경제정책을 평가하는 분기점이 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토론의 발제(發題)는 삼성경제연구소에 맡겨졌다. 정부측 주장(主將)인 진념(陳稔)경제부총리는 삼성경제연구소 고위 관계자를 불러 장시간 회의를 했다.

민간 차원에서 보는 우리 경제의 현 주소를 알아보고, 해법을 찾는다는 게 당초 취지였지만 야당의 공격 포인트를 찾는 데도 주력했다고 한다.

재정경제부 관계자는 "일단 토론의 주제를 ▶기업규제 완화▶사금융 철폐▶서민생활 안정대책▶지역경제 활성화 문제 등 네가지로 압축했다" 고 전했다.

민주당도 현대나 공적자금.건강보험재정 파탄 등 민감한 현안은 논쟁에서 완전히 제외하고 주어진 주제에 국한된 논쟁을 벌인다는 전략을 마련했다.

박병윤(朴炳潤)의원은 "경제 전반에 걸친 난상토론은 야당에 정치공세의 장(場)만 제공하고 아무 결론을 내지 못해 의미가 없다" 고 강조했다.

그러나 한나라당은 "결론을 이끌어 내려면 어차피 현 정권의 경제 실정(失政)을 거론하지 않을 수 없는 것 아니냐" (李漢久의원)며 정부.여당의 취약점을 하나하나 점검했다.

한나라당의 주장인 김만제(金滿堤)정책위의장은 "3자가 경제살리기를 위한 윈.윈 전략으로 가자는 게 토론회의 큰 원칙이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근본적인 문제를 덮을 수는 없다" 고 말했다.

토론회 장소는 강원도 원주 한솔 오크밸리로 잡아놨다가 언론에 알려지면서 급히 바꿨다. 경주 등 두 군데 정도를 물색해 놓았다고 한다.

재경부 관계자는 "토론회는 비공개로 진행하기로 해 출발 한시간 전에 여야 의원들에게 장소를 통보할 예정" 이라고 말했다.

송상훈.이수호 기자 mode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