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사설

저축은행 부실 책임 철저히 가려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8면

금융감독원이 솔로몬·한국·미래·한주 등 4개 저축은행에 대해 영업정지 조치를 취함으로써 지난해부터 시작된 저축은행 퇴출이 일단락됐다. 그러나 저축은행과 거래하고 있는 금융 소비자들은 여전히 불안감을 감추지 않고 있다. 앞으로 추가로 퇴출되는 저축은행이 더 없겠느냐는 의구심에서다. 이번 영업정지 대상에서 빠진 나머지 저축은행에서도 일부 대량 예금인출의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는 이유다. 지난해 9월 부실 징후가 나타났으나 한번 더 자구노력의 기회를 줬던 6곳의 저축은행 가운데 규모가 큰 4곳이 이번에 최종적으로 퇴출된 사실이 이런 불안감을 키우고 있다. 당시에 부실 저축은행들을 깨끗하게 정리했더라면 이번과 같은 혼란과 불안은 피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동안 금감원이 부실 저축은행들의 자구노력에 대한 감독이 소홀했던 게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되는 것도 이 때문이다.

 금감원은 “이번 영업정지가 최종 조치”라며 더 이상의 퇴출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정상 영업 중인 나머지 저축은행들 중에는 추가 영업정지 대상이 없다는 얘기다. 금감원은 이 같은 다짐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 금융의 바탕은 신뢰다. 신뢰가 무너지면 금융도 무너질 수밖에 없다. 금감원은 또한 저축은행에 대한 상시 구조조정 방침도 약속대로 철저히 시행해야 한다. 그래야 금융권 전체로 불안감이 확산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 와중에 퇴출 대상 저축은행 중 한 곳인 미래저축은행의 회장이 회사 돈 200억원을 빼돌려 중국으로 밀항하려다 체포되는 터무니없는 일이 벌어졌다. 무법천지의 시대에나 있음직한 한심하고도 몰지각한 일이 아닐 수 없다. 부실경영의 책임을 지겠다는 각오는 고사하고 고객과 회사의 피해는 아랑곳하지 않고 오로지 자신의 안위만을 생각한 것이다. 저축은행 경영진의 도덕적 해이가 극에 달했다는 방증이 아닐 수 없다. 오늘날 저축은행 부실에는 이처럼 금융인으로서 최소한의 자질도 갖추지 못한 경영진의 방만한 경영행태가 큰 몫을 했다. 부실 저축은행 경영진과 오너에 대한 철저한 수사를 통해 응분의 책임을 물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