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울산, 연구용 고래잡이 지원 나선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5면

국립수산과학원 고래연구소(울산시 남구 a매암동) 연구원들은 해마다 3월이면 조사선을 타고 동해로 나간다.

 6~8명씩 팀을 이뤄 일주일간 바다에서 고래 개체수를 헤아리고 생태를 관찰한다. 연구용 돌고래를 생포하기도 한다. 그러나 조사선 한 척으로 최대 시속 20노트(37㎞)로 바다를 헤엄치는 돌고래를 잡는 것은 쉽지 않다. 지난해 동해에서 정치망에 걸려 표류 중인 상괭이(돌고래과) 2마리를 구조한 게 포획 실적의 전부였던 것도 이 때문이다.

 고래연구소는 정부로부터 연구·조사용의 돌고래 포획쿼터를 연간 150~400마리씩 받고 있다. 하지만 2마리를 잡은 지난해와 같이 쿼터의 10%도 채우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연구·조사용 돌고래 포획은 생포가 기본이다.

 고래연구소 김두남(48·여) 해양수산연구사는 “우리 인력과 장비만으로 고래를 제대로 잡지 못해 연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의 포획수준으로는 고래서식지, 회유경로, 분포도 같은 생태학적 조사만 가능할 뿐 먹이·생활습성, 장기·생식기 등 신체기관 같은 생물학적 연구조사가 불가능한 상태”라고 말했다.

  이에 울산시 남구청이 돕겠다고 나섰다. 고래 포획 전문가를 초빙해 동해에서 고래를 더 잡겠다는 것이다.

 김두겸(56) 남구청장은 18일 “고래연구에 어려움이 많아 어느 정도 고래 포획을 늘릴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남구청은 간부회의를 열고 ‘고래 포획 전문가 초빙 대책’도 논의했다. 2010년 국제보호종인 남방큰돌고래를 제주 앞바다에서 포획해 재판을 받고 있는 한 어민을 초빙대상으로 검토 중이다.

 김 구청장은 “포획한 고래 가운데 연구용 외 고래를 현재 돌고래 3마리가 전시된 남구 고래생태체험관 수족관에서 키울 수도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고래연구소 측은 환영하는 분위기다. 고래연구소 관계자는 “연구·조사용 돌고래 포획에 협력하겠다는 것은 긍정적인 일”이라며 “빠른 시일내 남구청 관계자를 만나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고래포획 자체를 반대해 온 환경단체들은 발끈하고 있다. 동물자유연대 이형주(33·여)팀장은 “돌고래 서식지를 찾아가 연구하는 게 세계적인 고래연구 방식이다”며 “포획을 늘리는 걸 반대하는 캠페인을 벌일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윤호 기자

◆포경금지 규정=국제포경위원회(IWC)는 국제포경조약(ICRW)에 따라 1986년부터 상업적 고래잡이를 금지하고 있다. IWC가 규제하는 고래는 밍크고래 등 국제보호종 13종이다. 연구·조사용 포경과 원주민들의 생계용 포경은 허용한다. 일본은 2010∼2011년 연구 조사용 쿼터를 1500여마리 받아 남극과 북태평양에서 밍크고래와 돌고래를 잡고 있다. 돌고래의 경우 각국 정부가 쿼터를 정해 허용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