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회-교육감 갈등 속 김문수 지사의 ‘상생리더십’ 주목

중앙일보

입력

경기도의회와 경기도교육감 간의 감정싸움으로 도의회 임시회 일정이 파행을 겪는 과정에서 지방의회에 대한 김상곤 교육감과 김문수 도지사의 상반된 대응방식이 눈길을 끌고 있다.

경기도의회와 경기도교육청은 김상곤 교육감이 추진한 무상급식, 학생인권조례 등을 실현시킴으로써 그동안 돈독한 관계를 유지해 왔다.

하지만 경기도교육청 배상갑 감사담당관의 업무보고 거부로 촉발된 이번 사태로 도의회는 교육청의 공개사과와 해당공무원의 인사 조치를 요구했지만 김 교육감마저 7일과 8일 열린 도의회 본회의에 두 차례나 불참하자 화가 난 도의회가 교육청에 대한 모든 의사일정을 보이콧하며 갈등이 격화되고 있다.

경기도의회는 김 교육감이 본회의장에 출석하지 않는 행동에 대해 "1200만 도민의 대의기관인 도의회 존재를 부정하는 명백한 도전"이라고 비판했다.

한편 경기도교육청은 안산·광명·의정부 3개 지역 고교평준화 동의안과 1차 추가경정예산안 등의 처리를 위해서는 도의회의 도움이 절실하지만 "지방교육자치의 훼손이고 독선에 가까운 의회 권위주의 행태"라고 도의회를 비난하며 자존심을 굽히지 않고 있다.

오는 16일까지 동의안이 통과되지 못하면 3개지역은 고교평준화를 할 수 없다.

이에 반해 김문수 지사는 도의회와 대립 때마다 대화를 통해 '상생(相生)'하는 ‘상생리더십’을 발휘하고 있어 김 교육감의 행보와 대비된다.

김 지사는 2010년과 지난해 말 친환경 학교급식(무상급식) 예산을 늘리자는 도의회 민주통합당의 요구를 받아들였다. 대신 자신이 역점으로 추진하는 경기국제보트쇼와 국제항공전, 민원전철 및 도민안방 등의 사업비를 지켜냈다. 야당의 무상급식을 망국적 '포퓰리즘'으로 규정하고 반대해 온 김 지사였지만 갈등보다는 초당적인 협력을 택한 것이었다.

신뢰가 싹트면서 최근에는 지역현안의 총선 공약 반영을 요청하는 공동 성명도 전국 지자체 최초로 발표했다.

김 지사와 도의회 민주통합당, 새누리당은 지난달 28일 기자회견을 열어 19대 국회의원 후보들에게 소방재정 국비지원 확대, 개발제한구역 해제 권한 지방 이양 등 도정 핵심 현안의 공약화를 요구했다.

김용삼 대변인은 "김 지사는 경기도에는 새누리당, 민주통합당은 없고 '경기도당'만 있다는 생각으로 도의회와 화합하고 있다"면서 "갈등과 대립의 피해는 결국 도민들이 떠안을 수밖에 없는 것 아니냐"며 화합을 강조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