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 외채상환 거부운동 확산

중앙일보

입력

최근 브라질 국민들 사이에서 외채상환 거부운동이 확산하고 있다.

브라질의 총외채는 1999년초 국제통화기금(IMF)등으로부터 빌린 4백15억달러를 포함해 2천3백50억달러로 중남미에서 가장 많다.

게다가 레알화의 평가절하까지 겹쳐 부담은 더욱 가중되고 있다. 운동 참여자들은 이를 곧이곧대로 갚다가는 나라 경제가 거덜나고 국민 모두가 빈민으로 전락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 운동은 중산층에 막대한 영향력을 갖고 있는 브라질 주교협의회(CNBB)가 주도한다.

CNBB는 외채 원리금을 삭감하기 위한 획기적 방안을 모색하고, 오래된 외채의 경우 아예 상환을 중단토록 정부측에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

IMF가 강요하는 초긴축 정책을 받아들이지 말 것도 촉구하고 있다. 이들은 이달 초 브라질 전역의 교회.학교 등에 약 5만개의 투표함을 설치, 찬반투표까지 실시했다.

주민들의 90%가 이들의 운동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99년 주정부 차원에서 모라토리엄을 선언, 외환위기를 초래했던 미나스 제라이스주의 이타마르 프랑쿠 주지사도 "페르난두 카르도수 현 대통령의 실정(失政)책임을 왜 국민에게 전가하느냐" 며 맹공을 가하고 있다.

이같은 움직임에 브라질 정부는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외채상환 중단운동이 대외 신인도 하락을 초래해 또 다른 외환 위기를 불러올 수 있기 때문이다.

페드로 말란 재무장관은 6일 "CNBB의 행동은 디폴트를 선언하는 만큼의 큰 부작용을 일으킬 것" 이라며 "경제 안정을 해치는 어떠한 행위도 용납할 수 없다" 고 경고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