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칼럼@IT] 게임 대국… 인력양성은 뒷전

중앙일보

입력

언론 보도에 따르면 올해말 국내 게임 시장 규모는 1조2천6백억원에 달할 것이라고 한다.

해외 대작 게임의 경우 예전에는 국내 출시 과정에서 유통회사를 통해 우리말로 번역되었지만, 요즘은 아예 한글화 작업이 끝난 후에 국내 출시가 이뤄진다. 우리나라가 게임 소비 대국으로 각광받게 된 때문이다.

게임 산업은 신세대들의 영상 선호, 영상 매체의 발전, 그리고 초고속 정보통신 및 멀티미디어 산업의 발전에 따라 세계적으로 매년 3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는 고성장 고부가가치 산업이다.

그래서 미국.영국.프랑스 등 선진국들은 게임산업을 국가 주요 전략산업으로 선정해 적극 육성하고 있으며, 각종 제도정비도 서두르고 있다.

일본의 경우 멀티미디어 및 게임관련 학교가 60여개나 되며, 미국에서는 게임업체가 게임대학을 설립할 정도로 게임인력 육성에 적극적이다.

우리나라는 어떤가. 최근 문화관광부가 게임 산업을 21세기 국가 전략사업으로 집중 육성키로 하는 등 정부 차원의 각종 지원책이 마련되고 있지만, 정작 급선무인 게임 인력 양성을 위한 장기적 대안과 계획은 미비한 형편이다.

그나마 사설 교육기관이 빈자리를 채우고 있지만, 이 또한 수요를 충족시킬 정도는 못된다.

언제부턴가 우리는 인재가 자원인 우리나라의 특성에 가장 알맞는 고부가가치 산업이 게임 분야라고 말하곤 했다.

그러나 우수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구체적 노력이 전제되지 않는 한 우리는 게임 소비 대국은 될 수 있어도 게임 강국은 될 수 없다.

우수인력을 양성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국가 차원의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다.

게임 관련 특수 고등학교를 설립하거나, 대학에 게임 관련 학과를 개설해 전문인력을 양성해야 한다.

또한 기존의 개발 인력이 재교육받을 수 있는 재교육기관도 설립되어야 한다.

최근 한국능률협회가 ''게임 전문인력 양성과정'' 을 만들고 산학이 함께 게임스쿨을 개설하는 등의 몇가지 사례는 매우 고무적이다.

이밖에 게임제작과 관련한 지나친 규제 위주의 각종 규정을 최대한 완화하고, 국산 게임에 대한 마케팅 지원과 수출 및 거점 확보를 위한 정책도 추진해 나가야 할 것이다.

해외 게임 관련 교육기관과의 연계도 적극 추진해 국내 게임인력이 선진 게임문화와 기술을 익힐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문화와 가치관이 다른 타국의 게임을 즐기는 가운데 우리는 너무 쉽게 그 나라의 색깔에 물들어 버리는 문화적인 ''외침(外侵) '' 을 당하는지도 모른다.

우리가 만든 게임을 통해 우리의 사상과 문화를 세계에 전파할 때 우리나라는 21세기 게임 선진국으로 우뚝 설 수 있을 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