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도 젊은데 만성요통?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직장인 이 모씨(30세)는 몇 달 전부터 오후가 되면 허리에 통증이 생겨 업무를 처리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처음에는 대수롭지 않게 여겨 퇴근 후 찜질을 하는 등의 민간요법으로 통증을 완화하며 지내왔다. 하지만 얼마 전부터는 통증이 더욱 심해져 오후에는 앉아있기 힘들 정도가 되어 병원을 찾았고, ‘만성요통’이라는 진단을 받았다.

주변을 살펴보면 이유 없이 허리가 아프다고 하는 사람이 많다. 특히, 요즘은 나이가 많지 않은 주부나 직장인들이 허리가 아프다며 병원을 찾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흔히 허리가 아프면 ‘디스크’라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젊은 층의 경우는 요통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6개월 이상 진행되는 허리통증을 만성 요통이라 하는데 원인과 진단이 쉽지 않아 의사들조차 운동 혹은 약물이나 물리치료 정도로 권유하는 경우가 상당수다. 하지만 최근에는 MRI를 비롯한 다양한 진단장비의 개발로 과거에는 진단할 수 없었던 요통의 원인이 밝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치료도 가능하게 됐다.

만성요통의 대표적인 질환 중 하나는 ‘척추관절증후군’으로 척추를 움직이게 하는 관절을 오랫동안 사용하면서 주위의 신경을 자극해 요통을 일으키는 병이다. 이 질환의 특징은 아침에 일어나기 힘들고 활동을 하고 난 오후에는 오히려 허리가 부드러워지고 통증이 완화된다는 것이다. 또한 세수를 한 후 허리 펴기가 힘든 경우도 많다. 이때는 약물이나 물리치료, 재활치료로 호전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신경 치료술이 요구되는 경우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만성요통의 치료 중 하나로 비수술적인 방법인 ‘디스크 내 열치료술’이 효과적이다. 이 치료는 만성 요통을 일으키는 신경만 고주파 열로 파괴하여 통증을 느끼지 못하게 하는 치료법이다. 환자의 증상이나 연령에 따라 이 치료를 효과적으로 받을 수 있는데 나이가 젊거나 주로 허리만 아픈 경우, 퇴행성 디스크가 1개만 있는 경우에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비수술적 허리 치료는 신경성형술이다. 신경성형술은 꼬리 뼈 쪽에 국소마취를 하고 특수한 영상장치를 보면서 경막외강으로 지름 1mm의 바늘을 삽입해 통증 원인을 직접 제거한다. 염증이 심한 신경부위를 직접 눈으로 보며, 약물을 주입해 디스크 탈출이나 협착증으로 인해 생긴 허리 신경 주위에 염증과 부종을 제거하고 염증 물질을 차단하다.

또한 신경성형술은 짧은 시술 후 일상생활로의 복귀가 빨라 수술에 대한 부담감 및 공포심을 없애주며 1mm의 카테타를 이용, 원인이 되는 부위를 방사선 영상장치를 통해 시술하므로 정상조직의 손상이 거의 없고, 시술이 간단해 고령자나 당뇨, 심장 질환자, 골다공증 환자에게도 시술이 가능하다.

더불어 시술 후 발생하는 원인 모를 통증의 개선에도 상당한 효과가 있다. 시술 시간도 15~20분 정도로 짧아 바로 일상생활을 할 수 있다.

무엇보다 만성요통의 경우 증상이 있을 때 가급적 빨리 전문의의 정확한 진단으로 원인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치료를 받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또한 평소에 허리근육을 강화시키는 운동을 생활화하여 허리를 보호해야 하며 자전거타기, 산보, 가벼운 등산 조깅 등의 운동도 꾸준히 하는 것도 효과적이다.

도움말 : 더조은병원 미세침습∙비수술적치료 센터 양희석 소장

<이 기사는 본지 편집 방향과 다르며, 해당기관에서 제공한 보도 자료입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