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사에서 피해자 관리 총괄 성범죄 전문수사대 만들어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5면

“성범죄에 강력하게 대응하기 위해선 피해자·원스톱지원센터·범죄분석관이 한 팀으로 된 전문수사대를 꾸려야 합니다.” 광주남부경찰서 김병국(41·경정·사진) 형사과장이 지난 10년 간의 수사지휘 경험을 바탕으로 내린 결론이다. 지난달 말 통과한 전남대 행정대학원 졸업논문 ‘연쇄 성폭행범죄 전문수사체제 도입방안’을 통해서다. 성범죄의 유형이나 성범죄자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활발하지만, 성범죄 수사 현실을 연구한 사례는 드물다.

1993년 경찰에 입문한 그는 동부·서부경찰서 형사과장을 거쳤다. 2010년엔 전국성폭력상담소·피해자보호시설협의회가 주는 ‘인권디딤돌상’을 받았다. 서부경찰서에 성범죄전담팀을 만들고, 연쇄성폭행 사건을 잇달아 해결한 공로를 인정받아서다.

 김 과장은 “광주지역 성범죄 피해자는 2007년 742명에서 지난해 1473명으로 느는 등 급증하는 추세다”며 “하지만 공조수사 의무가 없어 연쇄성을 가려내기 힘든 상황이다”고 지적했다. 이어 “성범죄전문수사대는 피의자 검거에서부터 공판 때까지 성범죄 피의자·피해자 관리와 연구·상담·교육·프로파일링을 총괄하는 전문가 집단으로 키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강·절도범에 치중된 현행 실적평가 체제에선 일선 형사들이 ‘마포 발바리’와 같은 연쇄 성범죄 징후를 감지하더라도 광범위하고 집요한 추적수사를 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유지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