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한국인 힘든 일 안 해 … 우린 150만원이면 큰돈”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2면

스리랑카인들이 지난 8일 수도 콜롬보에서 한국어 능력시험 신청을 위해 해외취업국 건물 앞에 줄지어 서 있다. 이 시험에 합격하면 한국에서 3년짜리 고용허가제 비자(E9)를 받을 수 있다. 이날 8000여 명의 스리랑카인이 시험을 신청했다. [콜롬보 신화사=연합뉴스]


경기도 안산공단에서 절삭공구를 만드는 회사인 와이지원. 방글라데시에서 온 와심 하루크(36)는 이 공장에서 단순 기능공으로 3년째 일하고 있다. 하루크는 “방글라데시에서는 일자리가 없었는데 한국에 와 한 달에 160만원 정도를 번다”며 “미래를 꿈꿀 수 있는 한국에서 가능한 한 오래 남아 일하고 싶다”고 말했다. 이 회사의 노선호 총무팀장은 “전체 근로자 50명 중 24명이 외국인인데 고마울 정도로 열심히 일한다”고 했다.

 코리안 드림을 꿈꾸며 국내에서 일하는 외국인 근로자가 71만 명을 넘어섰다. 고용노동부 민길수 외국인력정책과장은 29일 “자국에 있을 때보다 보통 10배 정도 많은 월 150만원가량을 벌 수 있어 취업을 희망하는 외국인 행렬이 끊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또 주변에 한국만 한 노동시장이 없다는 것도 한국을 찾는 이유다. 한국기술대학 유길상 교수는 “유럽인들은 이동할 수 있는 노동시장이 많지만 아시아에서는 한국이 거의 유일해 외국인이 몰리는 것”이라고 말했다.

 국내에 인력을 보내는 국가는 베트남·방글라데시 등 15개국이다. 불법체류율이나 성실도 등에 따라 국가별로 인력 수가 제한된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15개 송출국에선 한국행 티켓을 잡으려는 경쟁이 치열하다. 한국에서 취업하기 위한 첫 관문인 한국어능력시험에는 수만 명이 몰린다.

한국산업인력공단의 박찬섭 고용기획팀장은 “지난달 3000여 명을 뽑은 네팔에서는 5만여 명이 몰렸다”고 말했다. 몽골과 우즈베키스탄의 다음 달 시험에는 각각 1만여 명, 1만2500여 명이 응시한다. 정부는 두 나라에서 1000명 안팎을 선발한다. 국제외국인센터 김찬호 센터장은 “한국어시험에 합격해야 고용인력풀에 들어갈 수 있다”며 “하지만 이후 국내 사업주의 선택을 받을 때까지 1~2년을 대기해야 한다”고 말했다.

 외국인 근로자들은 대부분 한국인이 눈길을 주지 않는 곳에서 일한다. 71만 명 중 90% 이상이 30인 이하의 중소기업에서, 나머지는 농어촌에서 일한다. 사업주들은 “임금이 싸서가 아니라 한국 근로자를 찾을 수 없기 때문”이라고 입을 모은다. 경기도 화성의 전자부품업체 유테크의 유정희 사장은 “야근이 많다고 한국 사람은 안 오는데 외국인 근로자는 야근 수당을 벌겠다며 일을 찾는다”고 말했다. 이 회사에서 일하는 필리핀 출신 노벤리(41)는 “한국 사람들은 힘든 일을 안 하려고 한다”며 “월 150만원을 벌 수 있다면 무슨 일이든 마다할 이유가 없다”며 웃었다.

 외국인 근로자들이 내국인 일자리를 잠식한다는 우려도 많다. 유길상 교수는 “특히 중국 동포의 취업이 허용된 뒤 건설·음식·숙박업을 중심으로 내국인 일용직이 계속 줄었다”고 말했다. 정부는 내국인 일자리를 잠식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숫자를 매년 조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2004년부터 매년 10만 명 안팎이 들어오던 외국인 근로자 수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한 해 3만~4만 명으로 줄었다.

 장정훈 기자, 윤지원 인턴기자
(세명대 저널리즘스쿨 대학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