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프 캐럴 땅속 금속성 물체] “레이더 조사 때 드럼통 서있는 듯한 신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경북 칠곡의 미군 기지 ‘캠프 캐럴’의 헬기장 주변에 다량의 금속성 물체가 묻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서, 지난 5월 불거진 고립제 매립 의혹이 점점 커지고 있다. 옥곤 공동 조사단 한국 측 단장(부경대 교수)은 8일 발표된 조사 결과에 대해 “미국 측이 전달한 원 데이터를 한국 전문가 그룹이 재검증, 보완을 요구해 다시 확정 지은 것”이라고 말했다. 다음은 공동 조사단과의 일문일답. 조셉 버츠마이어 미국 측 단장(주한미군사령부 공병참모부장)의 답변은 별도 표기했다.


 -지하투과레이더 조사 때 ‘드럼과 같은 물체’ 신호가 나왔다. 드럼통이 확실한가.

 “드럼통이 눕혀져 있을 때와 세워져 있을 때 레이더 패턴이 다르다. 세워져 있다고 가정하고 신호패턴을 가려냈다. 그러나 드럼통이 맞는지와 개수 등은 확인하기 힘들다.”

 -몇 m 깊이에서 이상대가 나타났나.

 “자력탐사 최대 심도는 10m가량이다. 몇 m에서 이상이 나타났는지는 알기 어렵다.”

  -시추 조사를 하는 이유는.

 “다 파면 좋지만 지역이 너무 넓다. 드럼통을 묻었다가 파냈을 수도 있는데, 시추 를 하면 잔류 물질 오염도를 조사할 수 있다. ”

 -시굴 계획은.

 “오염이 확인되면 그대로 두지는 못한다. 정화단계를 거쳐야 한다. ”

  “(버츠마이어) 시추 조사 결과가 안 나온 상태에서 가정만으로 ‘한다’ ‘안 한다’ 말하기는 어렵다. 지구물리탐사에서 특이 사항이 감지됐지만, 이 지역 모두가 오염됐다고 결론을 내릴 수는 없다. 그래서 시추를 추진하고 있다. 지금까지 조사에선 고엽제가 있다는 결과를 찾지 못했다.”

 -지난해 미군이 조사한 보고서는 공개하나.

 “(버츠마이어) 2010년 보고서는 부대 내 작업이 끝나지 않았다. 8월 말쯤 나올 거다. 완성되고 공개할 필요성이 있다면 절차를 밟도록 노력하겠다.”

 -고엽제 외 다른 오염물질 조사는.

 “(버츠마이어) 토양 샘플 채취 때 제조체·살충제·휘발성유기화합물 등 다 평가할 거다.”

 한편 공동조사단은 ‘헬기장 1’ 이외 지역에 대한 시추 조사는 지구물리탐사 결과 이상 지역 등에 대해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41구역에 대한 지구물리탐사 및 지하수 수질 조사는 이달 25일 시작될 예정이고, 현재 진행 중인 외부 토양, 헬기장·D구역에 대한 지하수 수질 조사의 결과는 이달 말 발표될 예정이다.

칠곡=공동취재단, 김한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