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애플의 AS 차별 … 중국선 새 아이폰 바꿔줬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지난해 10월 국회 국정감사에서까지 논란이 된 애플의 애프터서비스(AS) 정책이 여전히 개선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조사를 맡은 공정거래위원회의 미지근한 태도와 애플의 ‘시간 끌기’가 결합된 결과다.

 17일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시작된 애플 아이폰 AS 정책에 대한 조사는 여전히 제자리걸음이다. 지난달 2일 약관심사위원회를 한 차례 개최했을 뿐이다. 올 3월 한나라당 권택기 의원이 국회 공정위 업무 보고에서 “애플 아이폰 AS 문제에 대한 사후 보완이 왜 이뤄지지 않고 있느냐”고 질타했지만 효과는 없었다. 이에 대해 공정위 이순미 약관심사과장은 “다음 약관 심사 회의 일정을 아직 잡지 못했다. 애플이 외국 사업자라 답변이 한 번 오가는 데만 한 달 이상씩 걸려 언제 끝날지 알 수 없다”고 말했다. 소비자원은 지난달 30일 애플코리아에 컴퓨터인 아이맥의 AS 정책 관련 질의서를 보냈지만 답변 시한인 6일까지 아무런 답이 없었다. 14일 AS 문제가 언론에 공개되자 그제야 “미국 본사에 답변 내용을 확인해야 하니 17일까지 연장해 달라”고 연락했다.

 소비자들이 애플 아이폰 AS 정책에 대해 가장 크게 문제 삼는 건 중국·일본 등 다른 나라와의 차별이다. 애플은 “우리 AS 정책은 세계 공통”이라고 주장해 왔다. 그러나 실상은 다르다. 예를 들어 국내에서는 아이폰이 보증기한 내에 고장 나더라도 새 제품 교환이나 부분 수리 대신 29만원을 받고 ‘리퍼폰’(재활용 부품으로 제작한 단말기)으로 바꿔준다. 하지만 중국에선 리퍼폰이 아닌 새 제품 교환이나 부분 수리를 하고 있다. 중국은 법으로 이렇게 하도록 했다. 반면 한국은 새 제품으로 교환하는 것 등이 권고 사항이어서 애플은 이를 따르지 않고 자체 규정에 의해 리퍼폰을 주고 있다. 국내에서 이런 식의 차별을 하는 것은 애플뿐이다. 삼성·LG는 물론 HTC 등 외국계 휴대전화 제조사들도 모두 권고 기준에 맞춰 AS를 하고 있다.

 애플 측은 “한국에도 직영점이 생기면 중국·일본과 같은 AS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한다. 애플의 정식 AS센터는 직영점 내에만 설치돼 있다. 일본엔 6개, 중국에는 4개의 애플 직영점이 있다. 한국에만 직영점이 없는 것에 대해 애플코리아 관계자는 “직영점이 그렇게 쉽게 열리는 게 아니다”라고 말했다. 시장 규모가 웬만큼 돼야 직영점을 열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2009년 10월~2010년 9월 이 회사의 한국 내 매출은 2조원에 이른다. 지난해 중국 매출(약 3조원)에 비해 크게 떨어지는 규모가 아니다. YMCA 시민중계실 한석현 간사는 “국내 소비자가 계속 늘어나는 상황에서 직영 AS점 설치는 필수”라며 “정부가 나서 하루 빨리 외국과의 차별 문제를 검증하고 해결책을 내놓아야 한다”고 말했다.

허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