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험 바뀌면 수업 변화, 학교서 말하기·쓰기 배우게 될 것”

중앙선데이

입력

"중앙선데이, 오피니언 리더의 신문"


선진국은 물론이고 다수 저개발국가에서 중등 영어교육만 받으면 영어로 듣기·읽기·말하기·쓰기를 모두 잘한다. 학교에서 영어로 듣기·읽기·말하기·쓰기를 모두 가르치고 평가하기 때문이다. 국력으로 보나 필요성으로 보나 우리 공교육도 말하기·쓰기를 평가에 포함시켜야 할 시점이다. 이를 위해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National English Ability Test·NEAT)이 개발됐다. 이르면 지금 중학교 2학년 학생이 수능의 언어 영역을 대체한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이하 NEAT)으로 2016년 대학에 입학한다. NEAT는 내년 일부 대학·학과 수시 모집에서 시범 활용되며 수능 대체 여부는 내년 말 결정된다. NEAT는 컴퓨터 앞에 앉아 헤드셋을 쓰고 자판을 두드리며 치르는 인터넷방식(IBT) 시험이다. 문법 지식 자체는 묻지 않으며 원어민 가까운 발음은 요구하지 않는다. 학교 수업에만 충실하면 좋은 등급을 받을 수 있다. 사교육 의존도를 낮추고 공교육·실용영어·영어의사소통능력의 강화를 유도할 수 있는 시험이지만 사교육 시장은 벌써부터 들썩이고 있다. NEAT를 개발한 한국교육과정평가원(원장 성태제)의 진경애(NEAT본부장·사진) 박사를 만나 궁금증을 풀었다.

-NEAT의 개발 배경은.
“영어가 국가 경쟁력으로 인식되는 시대에 ‘고등학교를 졸업해도 영어 한마디 못한다’는 말이 나오게 방치할 수 없어서다. 공교육을 강화하고 듣기·읽기·말하기·쓰기를 골고루 교육해 영어교육의 편중을 극복하기 위해서도 NEAT가 필요했다. 수능 시험에 맞춰 듣기·읽기 위주의 공교육을 하다 보니 교과서에 나와 있는 말하기·쓰기 내용을 제대로 가르치기 힘들었다.”

-사교육을 부추길 것이라는 전망도 있는데.
“시장이 단기적으로는 반응할 수는 있지만 중장기적으로는 그렇지 않을 것으로 예측된다. NEAT는 오히려 사교육을 줄이는 수단이 될 수 있다. 수능은 상대평가로 9개 등급을 부여한다. 상위 등급을 받기 위해 문제 풀이가 중심이 된다. 사교육을 부추길 수 있는 구조다. NEAT는 절대 평가로 듣기·읽기·말하기·쓰기 영역별로 A(우수)·B(보통)·C(기본) 등급을 부여한다. 일정 수준에 도달하면 더 높은 점수를 받기 위해 무한경쟁에 매달릴 필요가 없다.”

-공교육이 말하기·쓰기를 가르칠 준비가 돼 있나.
“NEAT의 말하기·쓰기 영역은 교과서 수준·내용과 일치한다. 수능 때문에 못 가르치던 내용을 가르칠 수 있게 됐다고 반기는 선생님이 많다. 준비가 부족한 부분은 EBS 수능방송과 연계해 보충할 수 있다.”

-NEAT 도입 후에도 입시 위주 수업이 계속되는 것은 문제 아닌가.
“수업은 시험 내용·방식의 영향을 받는다. 시험에 말하기·쓰기 문제가 나옴에 따라 교과서·지도서 내용을 바탕으로 수업에서 말하기·쓰기 수행평가가 활성화된다. 문제 풀이 방식을 탈피해 실제로 말하기·쓰기 능력을 키우게 되는 것이다. 미국에서도 능숙도 시험(proficiency test)이 나오면서 평가와 교수·학습을 밀접하게 연결하는 수행평가(遂行評價·performance assessment)가 가능해졌다. 시험이 영어 능숙도를 측정하게 돼 ‘시험에 맞춘 수업(teaching to the test)’이 학생들의 능력을 실질적으로 향상시키게 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수행평가를 국가 차원의 시험에 도입한다는 것은 난제였으나 IT와 시험 이론의 발달로 가능하게 됐다.”


-정부·정권이 바뀌면 NEAT의 운명도 바뀌는 것은 아닌가.
“국가 수준에서 NEAT 같은 시험의 필요성은 오래전에 제기됐다. 일본·대만·중국에는 정부가 자체 개발한 시험이 있는 반면 우리는 해외 시험에 대한 의존도가 너무 높았다. 2006년 참여정부 때부터 시험 개발 준비 작업에 착수했다. 현 정부 들어서는 실용 영어 교육과 공교육 강화 차원에서 NEAT 개발이 추진됐다.”

-NEAT는 변별력이 충분한가.
“수능에 비해 NEAT는 등급이 많지 않지만 학생의 절대적인 수준에 대해 변별력이 높다. NEAT는 시험의 신뢰도를 확보했다. 난이도를 통제하기 때문에 시험 때마다 결과가 들쭉날쭉하지 않을 것이다. A를 받은 학생은 다음 시험에도 A를 받을 확률이 높다. A와 B, B와 C 사이 등 커트점수(cut score)에 걸려 있는 경우에는 변화 가능성이 있다. B를 받은 학생이 집중적인 학습으로 A로 올라갈 수는 있으나 특정 기간 내에 크게 변화하지는 않는다.”

-예상 질문에 맞춰 준비한 답을 쓰면 어떻게 되나.
“질문 내용에 적절히 답해야 점수를 얻을 수 있다. 질문과 어긋나는 내용으로 답하면 상당히 낮은 점수가 나온다. 전혀 무관한 답이면 F가 나올 수도 있다.”

-말하기 영역의 경우 옆 사람을 따라 하는 부정행위 가능성도 있다.
“시험 감독관이 물론 있고, 부정행위 방지를 위한 연구도 하고 있다. 장기적으로는 답안을 보고 부정행위를 찾아낼 수 있는 자동 채점 방식을 고려하고 있다. 답안끼리 유사도가 너무 높은 경우 걸러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NEAT가 수능을 대체하게 되면, TOEFL·TOEIC·IELTS 등의 시험도 대학 입시용으로 인정하자는 이야기가 나올 수 있는데.
“NEAT는 우리나라 교육 과정에 맞춰 설계된 시험이다. 해외 시험들은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한 일반적인 능숙도를 측정하는 시험이기 때문에 우리나라 교육 환경과 부합되지 않는다.”

-채점 문제는 없나. 채점 결과에 대한 이의 신청을 허용할 것인가.
“모의시험 결과를 보면 채점자 간 신뢰도가 상당히 높다. 이의 신청 허용은 정책적 차원에서 검토할 수 있다.”

-원어민이 채점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올 수 있다.
“고등학교 학생 수준의 답안은 우리 영어 선생님들이 충분히 채점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원어민 채점과 병행하면 측정 결과의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

-NEAT는 고3 학생들만 볼 수 있다. 1, 2학년에게도 허용해 고3때는 다른 과목에 집중하도록 하면 안 될까.
“학생들의 부담을 줄일 수 있으나 고3 수업의 정상화도 중요하다. 정교하게 따져봐야 할 문제라고 생각한다.”

김환영 기자

중앙SUNDAY 구독신청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