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과학벨트를 우리 고장에” ② 경북권·광주광역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5면

경북권
“철강·IT 산업벨트에 연구소를”

과학벨트 유치를 염원하는 GUD(경북, 울산, 대구) 자전거 릴레이단의 포항 출정식이 10일 포항시청 앞에서 열렸다. [포항=연합뉴스]


8일 대구·울산·경북 3개 시·도민의 과학벨트 유치 서명이 300만 명을 돌파했다. 서명운동을 전개한 지 17일 만이다. 11일 오전에는 경북도청에서 지역 이공계 교수 등 150여 명이 모여 과학벨트 유치를 결의한다.

 경북도(G)는 울산시(U)·대구시(D)와 손잡았다. ‘G·U·D가 과학벨트 입지로 굿’이라는 플래카드도 곳곳에 내걸었다. G·U·D에는 대구·울산·포항·구미 등 10개로 압축된 후보 지역 4곳이 있다.

 경북도는 과학벨트가 산업과 연결된 곳에 들어서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래야 시너지가 극대화된다는 것이다. 구미의 IT(정보기술)와 포항의 철강, 울산의 자동차·조선, 대구의 섬유는 국가 경제를 이끄는 지역 산업벨트다. 김관용 경북지사는 “문제는 이들 지역이 연구개발(R&D) 기능이 없어 40년 동안 생산기지창 역할만 했다”며 “원천기술이 없으면 다 무너진다”며 과학벨트 유치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경북도는 기초과학연구원 본원과 중이온가속기가 들어설 G·U·D의 거점지구로 포항테크노파크 2단지를 첫 번째 후보지로 잡고 있다. 이 지역에는 세계적인 연구중심대학 POSTECH(옛 포항공대)이 있다. ‘노벨상 사관학교’로 불리는 독일 막스플랑크도 지난해 포항에 연구센터를 열었다. POSTECH 주변에만 60여 연구소에 석·박사급 연구인력만 4000여 명이 모여 있다.

 기초과학 연구를 뒷받침할 3세대 방사광가속기는 이미 1994년에 준공돼 이곳에 들어서 있다. 3세대 왼쪽에는 다시 길이 960m인 4세대 방사광가속기가 들어선다. 또 경주에는 양성자가속기가 현재 건설 중이다. 정주 환경은 연구를 하다가 충전이 필요하면 동해안을 거닐고 경주 양동마을 등 세계문화유산을 쉽게 갈 수 있는 위치다. 기초과학 연구에 필요한 연구 기반과 연구진, 정주 여건 등 3박자를 모두 갖췄다는 것이다. 경북도가 2009년부터 일찌감치 유치에 뛰어든 이유다.

 하지만 한계도 만만찮다. 포항이 대통령의 고향이란 점이다. 박승호 포항시장은 “서울에서 홍보해 보니 여론이 냉랭했다”고 말했다. 포항이 또 챙기려 한다는 지적이 있더라는 것이다. 경북도는 과학벨트 유치에서 ‘정치적 결정’을 가장 경계한다. 유치전에서 포항시를 적극 내세우지 않는 이유다. ‘형님벨트’ 같은 논란을 피하기 위해서다. 포항시는 그래서 경북도에 불만이다.

대구·포항=송의호 기자


광주광역시
“부지 싸고 지반 튼튼 … 경제성 최고”

지난 4일 광주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회원들이 문화예술회관 광장에서 ‘과학벨트 호남권 유치 결의대회’를 열고 있다. [광주=연합뉴스]


광주광역시의 1인당 지역내총생산(GRDP)은 1522만3000원으로 울산(4622만9000원)의 3분의 1 수준이다. 22조557억원인 광주지역 총생산은 광역시 중 꼴찌다. 수도권과 멀리 떨어진 데다 산업 기반시설도 부족해 투자유치가 쉽지 않다. 이런 광주가 요즘 꿈에 부풀어 있다. 그 중심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가 있다. 광주의 한 해 예산(3조원)보다 많은 국비 3조5000억원이 투입되는 과학벨트 유치를 위해 광주·전남을 포함해 총 250만 명이 서명했다.

 1월 25일 오후 서울시 종로구 세종로 정부중앙청사 특임장관실. 이재오 장관과 마주한 강운태 광주광역시장이 호남~영남~충청을 잇는 삼각벨트론을 꺼냈다. 그는 ‘과학벨트 특별법’이 통과된 지난해 12월부터 청와대·정부, 여·야 국회의원, 과학계 인사 등을 두루 만나 분산배치론을 설파해 온 터였다. 연구개발(R&D)특구로 지정된 광주·대구·대전엔 각각 광주과기원(GIST), 대경과기원(DGIST), 한국과기원(KAIST)이 있어 기초과학의 응용·개발과 사업추진이 쉽다는 논리였다. 과학벨트 연구의 모델이 된 일본 이화학연구소(RIKEN)와 독일 막스프랑크연구협회(MPG)도 분산배치됐다고 설득했다.

 광주·전남에선 1978년 이후 규모 4 이상의 지진이 발생한 적이 없다는 점도 강점이다. 지반이 경쟁 도시에 비해 튼튼해 안전성이 뛰어나다는 거다. 광주가 과학벨트의 핵심시설인 중이온가속기를 두기에 적지인 이유다. 또 지반이 약한 지역은 내진설계가 반드시 필요하지만 광주권의 경우 지반이 안정돼 1000억원가량의 추가비용 부담을 피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3.3㎡당 최저 1만2000원에 공급할 수 있는 부지 경쟁력도 다른 지자체에 비해 우위에 있다. 광주시는 과학벨트 본원을 유치하면 부지로 330만㎡를 무상 제공하겠다고 했다. 과학기술 인프라도 강점이다. 한국광기술원·고등광기술연구소·전자부품연구원 등이 첨단과학산업단지에 있다. 서울대 정진하(생명과학부) 교수는 “광주는 교육·문화 환경이 잘 갖춰져 연구원과 가족이 정서적인 안정을 취할 수 있는 곳이며, 중성자 가속기의 위험 요소까지 감안하면 지반이 안정된 광주가 적지”라고 말했다.

 단점도 있다. 분산배치에 대한 과학계의 반발과 연구 인프라가 부족한 점 등이다. 또 청와대·여권과 통할 수 있는 인재풀이 부족하고, 충청권 유치가 대통령 공약사항이란 점도 걸림돌이다.

광주=유지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