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로 외우는 송오현의 TOEFL 어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suspect, guilty, aggravate

“사건의 용의자(suspect)로 지목된 그는 죄책감(guilty)을 느끼기는커녕, 자신의 범죄 사실을 매일 다르게 진술했다. 그의 일관성 없는 진술은 사건을 더욱 악화시킬(aggravate) 뿐이었다.”

 suspect는 동사로는 ‘믿지 못하고 의심하다’ ‘~일 것이라고 생각하다’의 뜻이다. doubt도 같은 의미지만 suspect와 다르게 ‘~이 아니라고 의심한다’라는 뜻으로 쓰임새가 다르다. doubt 뒤엔 부정어가 올 수 없다는 것도 기억해야 한다. 명사도 동사형과 같은 형태로, ‘혐의자·용의자’라는 뜻이 된다. 살인 혐의자는 a murder suspect다. 동사로 쓰일 때 동의어는 distrust, have misgivings about, reckon이 있다. distrust는 ‘불신하다’, have misgivings about은 염려를 표현하다, 의심스러운 느낌이 든다’, reckon은 ‘~라고 생각하다’라는 뜻이다. 명사로 쓰일 때 동의어는 the accused로 ‘피고’가 된다.

 guilty는 보통 ‘죄책감이 드는, 가책을 느끼는’이라는 뜻으로 자주 사용된다. ‘Chocolate is one of my favorite guilty pleasures!’라는 문장은 ‘초콜릿을 좋아하지만 다이어트나 다른 이유 때문에 초콜릿을 먹기가 꺼려진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guilty의 반대말은 innocent로, 잘못한 것이 없다고 느낄 때 feel innocent라고 표현한다. 또 구체적으로 잘못을 저지른 것에 대한 ‘법적 책임감을 느끼는’, 잘못이나 실수에 ‘마땅히 책임져야 되는’ 이라는 뜻도 있다. 어떤 사람의 ‘유죄를 인정하다’는 plead guilty라고 쓰니 함께 기억해두면 좋다. 동의어로는 to blame, ashamed, guilt-ridden이 있다. to blame은 능동 형태지만, ‘~에 대한 책임이 있다’라는 뜻의 형용사로 사용될 수 있다. he is to blame(그 사람이 책임을 져야 한다), I am to blame(내 책임이다)라는 식으로 쓰인다. ashamed는 ‘~여서 부끄러운, 창피한, 수치스러운’, guilt-ridden은 ‘깊은 죄책감을 느끼는’이라는 의미다. 이와 비슷하게 guilt trip이라는 표현이 있다. ‘guilt trip A into B ~ing’의 형태로 사용되며, ‘죄책감을 느끼게 해 A가 B를 ~하게 하다’라는 뜻이다.

 aggravate는 문제·상처·공격 등 ‘좋지 않은 것을 악화시키거나 심각하게 만들다’는 뜻이다. Don’t aggravate me(날 짜증나게 하지 마)처럼 ‘어떤 사람을 화나게하고 짜증나게 만들다’라는 의미도 있다. 동의어로는 exacerbate, inflame, irritate, exasperate가 있다. exacerbate는 특히 ‘질병이나 문제 등을 악화시키다’라는 뜻으로 쓰인다. inflame은 ‘흥분시키다, 상황을 걷잡을 수 없게 악화시키다’, irritate는 ‘짜증나게 하다, 거슬리다’, exasperate는 ‘몹시 화나게 하다’라는 의미다.

<송오현 dyb최선어학원 원장, 고려대 졸,『stp toefl 120』 저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